산업정보/철강
철강산업의 종합 평가 및 중단기 전망
성공을 도와주기
2008. 11. 19. 10:00
4. 철강산업의 종합 평가 및 중단기 전망 |
|
(1) SWOT 분석 |
|
|
|
(2) 발전가능성 |
|
자동차, 가전, 조선 산업 등 수요산업의 안정적인 성장과 고부가가치화 진전 |
|
|
 |
자동차, 기계, 조선 등 수요산업의 성장은 다소 둔화되지만 고부가가치화 노력으로 고급강재 위주의 수요증가 전망 |
- |
자동차는 중대형차, SUV 등의 생산 확대가 예상되고, 조선은 대형선, 특수선의 비중이 늘어날 전망이며, 기계는 차세대 NC 선반, 복합머시닝센터, 정밀가공기계 등이 주력 상품으로 등장할 전망임 |
주요 수요산업의 성장전망 |
|
구분 |
연평균증가율(2000~2010) |
산업발전단계 |
생산증가율 |
수출증가율 |
성숙단계진입 |
성숙단계 |
자동차 |
3.1 |
4.8 |
2000 |
2010 |
가전 |
5.5 |
4.4 |
2000 |
2010 |
자료 : |
산업발전전략기획단, 「산업4강으로의 길」, 2002. 9 | |
 |
|
중국, 동남아 등 거대 철강 잠재시장과의 인접 |
|
|
 |
세계 철강수요는 중국, 동남아 중심으로 성장이 예상되고 있어서 이들에 인접해 있는 한국으로서는 철강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가능성 확보 |
- |
중국의 성장은 한국 철강산업에 기회를 제공하는 긍정적인 측면도크지만 장기적으로는 경쟁상대로서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함
|
 |
기계산업이 국내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고려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동 산업에 대한 강력한 육성의지가 강점으로 꼽힘. |
- |
국내 철강업계는 동 지역의 성장에 대응하여 현지 진출 및 수출을 강화 |
- |
실하공정 위주로 투자하고 있으며, 중국에는 16개 사업, 4억 4천만달러 투자. 태국과 베트남에도 진출 중 |
 |
남북경협이 활성화될 경우, 북한의 경제개발과정에서 사회인프라구축을 위한 철강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 |
- |
인프라구축단계에서는 철근, 봉강 등 조강류의 수요가 큰 폭으로 늘어날 전망임 |
 |
그러나 북한 내 철강설비의 노후, 기술수준 낙후, 원자재 부족 등으로 철강재의 남북교류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 |
- |
인프라구축단계에서는 철근, 봉강 등 조강류의 수요가 큰 폭으로 늘어날 전망임 |
 |
북한 내 철강생산능력은 1999년 기준으로 598만 톤, 생산은 124만 톤으로 알려져 수요에 비해 생산능력이 충분한 편이지만, 시설 및 기술의 낙후로 경제개발 활성화시 다양한 수요에 부응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철강재의 남북교류가 보다 활발해 질 것으로 기대 |
|
(3) 세계시장 전망 |
|
중국이 세계 철강수요 증가 견인 |
|
|
 |
중국의 급신장에 힘입어 세계 철강수요는 금년 6.4%, 내년 5.8% 성장 전망 |
- |
금년과 내년 세계 철강수요 증가의 75%가 중국에서의 증가분임 |
- |
금년 세계 철강수요 증가량 5,300만 톤 중 4,600만 톤, 내년 5,200만 톤 중 3,300만 톤이 중국에서 증가 |
세계 철강 단기 수요전망 |
|
|
2002 |
2003 |
2004 |
톤 |
톤 |
차이 |
% |
톤 |
차이 |
% |
중국 |
211 |
257 |
46 |
21.7 |
290 |
33 |
12.8 |
기타 아시아 |
217 |
224 |
7 |
3.1 |
225 |
1 |
0.5 |
EU-15 |
138 |
139 |
1 |
0.4 |
143 |
4 |
2.9 |
CIS/CEE |
68 |
71 |
3 |
1.5 |
74 |
3 |
2.8 |
NAFTA |
133 |
129 |
-4 |
-2.6 |
136 |
7 |
5.3 |
남미 |
28 |
28 |
0 |
1.3 |
30 |
2 |
8.1 |
기타 국가 |
36 |
36 |
0 |
2.5 |
38 |
2 |
4.3 |
세계 |
831 |
884 |
53 |
6.4 |
936 |
52 |
5.8 |
세계(중국제외) |
620 |
627 |
7 |
1.2 |
646 |
19 |
3.0 |
자료 : |
IISI, 2003. 10 | |
 |
 |
2007년까지 세계 철강수요는 연평균 4.6%의 높은 성장이 기대되나,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의 성장률은 2.0%에 그칠 전망임 |
- |
같은 기간, 중국의 철강수요는 연평균 10.9%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며, 세계전체 증가량의 70% 가량이 중국에서 늘어날 것으로 전망 |
중장기 세계 철강수요 전망 |
단위 : 백만톤 |
|
|
2002 |
2007 |
비관 |
중립 |
낙관 |
중국 |
211 |
330 |
355 |
375 |
일본 |
72 |
65 |
67 |
69 |
기타 아시아 |
145 |
167 |
172 |
176 |
EU-15 |
138 |
142 |
144 |
150 |
CIS/CEE |
68 |
76 |
80 |
85 |
NAFTA |
133 |
142 |
149 |
155 |
남미 |
28 |
31 |
33 |
35 |
기타 |
36 |
38 |
41 |
44 |
세계 합계 |
831 |
991 |
1,041 |
1,089 |
세계(중국 제외) |
620 |
661 |
686 |
714 |
자료 : |
IISI, 2003. 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