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친환경/물의 소중함

물관리, ‘세계 최고 강수량 측정기록’ 썩힌다

성공을 도와주기 2008. 11. 3. 12:53

물관리, ‘세계 최고 강수량 측정기록’ 썩힌다
[환경통신] 근시안적 ‘물 안보’
‘장영실 측우기’ 덕 상세 관측…1884~1910 대가뭄

1966년 기점, 계획 세워…장기간 기록 토대 삼아야

» 서울의 강수량 변화(1777~2007)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한양으로 거지떼가 몰려들었다. 폭도로 돌변한 백성들 때문에 밤중엔 돌아다니기가 위험했다.…모내기를 하지 못한 모는 못자리에서 말라 죽어갔다. 먹지 못해 죽어가는 사람이 전국적으로 발생했다.”

 앵거스 해밀턴이란 영국인이 1901년 극심한 가뭄이 든 조선을 여행하면서 본 광경이다. 당시 조선의 이례적인 장기 가뭄을 분석하기 위해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기상관측소 통신원이 제물포에 파견됐는데, 그 해 6~8월 한창 비가 와야 할 여름철 강수량이 104㎜에 그쳤다.

 1884~1910년 사이 한반도에는 사상 유례가 없는 혹독한 가뭄이 몰아쳤다. 그 27년 동안의 연평균 강수량은 874㎜였다. 1901년엔 374㎜밖에 오지 않았다. 대조적으로 1971~2000년 사이 30년 동안 서울의 연평균 강수량은 1344㎜였다.

 

 러시아 기상관측소 통신원까지 파견…1901년엔 374㎜만

 

 그러나 이 큰 가뭄 기록은 국가 차원의 물 수급 계획을 짤 때는 ‘없었던’ 일이 된다. 국가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은 1967~1968년 가뭄을 최악의 사태로, 2001년부터는 1966년 이후 최대 가뭄을 기준으로 그런 상황에서도 물 부족이 없도록 수급계획을 잡는다.

 기후변화로 가뭄과 홍수 등 이상기상이 빈발하면서 좀 더 장기간의 강수기록을 토대로 수자원 관리를 해야 물 안보를 확보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끈다

김승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프런티어사업단 단장은 “지난 40년 동안 심각한 물 부족을 겪지 않은 것은 운 좋게 비가 많이 내려줬기 때문”이라며 “1900년을 전후한 극심한 가뭄이 당장에라도 닥친다면 극심한 물 부족 고통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 전남북, 경남 지방 등 남부 지방에 가뭄이 이어진 21일 오후 바닥을 드러낸 전북 장수군 장계면 금덕저수지. 장수/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우리나라가 본격적으로 수자원 계획을 세운 것은 1970년대로 목표는 1967~1968년과 같은 가뭄을 되풀이하지 말자는 것이었다. 가장 최근의 큰 가뭄이 목표가 된 것은 자연스런 일이었다. 그러나 이후 매 10년마다 짜는 수자원장기계획에서도 이 때의 가뭄이 기준으로 굳어졌다. 1967년의 가뭄은 영·호남 지방에선 심각했지만 한강유역엔 평년의 80% 정도 비가 왔다. 따라서 2001년부터는 전국을 일관된 기준을 적용하기 위해 기준을 ‘1966년 이후 최대 가뭄’으로 고쳤다. 가장 최근의 장기계획인 2006년의 보완계획은 따라서 1966~2003년을 검토구간으로 삼았다.

 그렇다면 왜 20세기 초의 큰 가뭄을 장기계획에 포함시키지 않았을까. 2006년 보완계획에 참여한 김승 박사는 “어떤 형태로든 최악의 가뭄을 고려에 넣자는 주장이 있었지만 뾰족한 대책도 없이 국민만 불안하게 한다는 판단에서 넣지 않았다”고 밝혔다. 만일 조선 말 규모의 가뭄이 닥쳐 한강이 사실상 말라버린다면 엄청난 사태가 벌어질 것이 뻔하다.

 

 1966년 기점 땐 1년만 물 부족…1777년 부터 땐 50년 ‘갈증'

 

» 조선 영조 46년(1770년) 제작된 측우기. 측우대 위에 원통 모양이 측우기이다. 기상청에 보관돼 있다.
우리나라의 측우기록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적어도 2시간 간격으로 측정한 자료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됐다. 세종 때 장영실이 발명한 측우기를 이용한 관측시스템은 임진왜란 때 붕괴했지만, 1772년 복구돼 <승정원일기> 등의 기록을 통해 자료가 남아있다.

 조선시대 측우기 관측자료를 분석해 온 임규호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왕조 말의 정치적 혼돈기에 일부 측정자료가 부실한 점은 눈에 띄지만 그것을 고려하더라도 약 100년 전 큰 가뭄이 있었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김승 박사가 임 교수 등의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도표 참조)를 보면, 1777년부터 2003년까지 226년 동안 서울의 연평균 강수량은 1215㎜였다. 이는 수자원계획 수립 때 기준으로 삼는 1966~2003년 사이 37년 동안의 연평균 강수량 1400㎜보다 185㎜나 적은 값이다.

 김 박사는 2011년의 용수수요를 기준으로 한강유역의 물 수급 상황을 평가했더니 1966년 이후 자료를 근거로 한 2006년 수자원계획에서는 37년 중 1년만 물 부족이 발생해 97%의 안전도를 보였다. 물 부족 사태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는 계산이다.

 그러나 평가기간을 1777년까지 늘리면 물 부족 햇수는 50년에 이르며, 안전도는 78%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자원계획에서 물 부족이 가장 심했던 것으로 평가한 1975년 물 부족량이 7억㎥인데 비해, 측우기록 상 최대 갈수년이었던 1900년의 물부족량은 무려 111억㎥에 이르렀다.

 김 박사는 “우리는 극도로 강수 변동성이 큰 국토에 살고 있다는 사실을 잊고 있다”며 “기후변화가 불러오는 새로 가뭄 발생 위험에 대비해 더욱 보수적으로 수자원을 관리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한반도 대가뭄, 2012년 시작해 2025년 정점

부경대 변희룡교수팀 분석

1653, 1777, 1901년 등 124년 주기로 대재앙

 

 조선 왕조에 종말을 불러왔던 대가뭄이 몇 년 뒤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변희룡 부경대 환경대기과학과 교수팀은 최근 한국기상학회 가을 학술대회에 발표한 논문 ‘주기로 본 한반도의 다음 대가뭄’이란 논문에서 이렇게 밝혔다.

 연구팀은 측우기 관측결과와 조선왕조실록 등 역사기록을 토대로 역사상 가장 큰 가뭄은 1882년 시작해 1901년 정점에 이른 뒤 29년간 계속된 가뭄을 꼽았다. 두번째로 심한 가뭄은 1901년보다 124년 전인 1777년을 중심으로 13년간 계속됐다.

 이런 심한 가뭄은 124년씩 거슬러 올라간 1653년(실제로는 1652년)과 1405년에도 발생했다.

 연구팀은 그 근거를 조선왕조실록에서 ‘가뭄’이나 ‘기우제’란 용어를 사용한 빈도가 전체 왕조기간 평균이 각각 6.3회와 2.9회인 데 견줘 가뭄시기엔 23.8회와 10.3회로 잦다는 데서 찾았다.

 이런 주기에 비춰 다음 대가뭄은 2012년 시작해 2025년 정점에 이를 것이라고 이 논문은 내다봤다. 연구팀은 이런 124년 주기의 원인이 천문학적 이유일 것으로 추정했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