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사는 이야기/향기나는 글

[新귀거래사] 고광출 前 서울대 원예과 교수

성공을 도와주기 2009. 4. 26. 11:04

[新귀거래사] 고광출 前 서울대 원예과 교수

[서울신문]"이런 일 안 했으면 나무를 키우는 즐거움 어디서 맛봤겠어요."

충남 천안시 동면의 동산식물원장 고광출(75) 전 서울대 교수는 "어려움은 있지만 내 꿈을 이뤄 기쁘다."면서 "식물원을 만든 것은 사회에 기부하기 위해서였다."고 말했다.

고 원장은 "나이 들어서는 모든 재산욕심을 버려야 한다."며 식물원을 가꾸며 시골에서 사는 행복을 들려줬다. 관직과 사회적 지위가 아닌 '사람 대 사람'으로 만날 수 있는 점을 먼저 꼽았다. 이곳은 사람값을 차, 옷, 문화생활 등으로 재단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그는 "겉치장과 고급생활만으로 어른 대접을 받는 게 아니다."면서 "동네 혼사 주례는 내가 다 서준다."고 의미있는 귀띔을 했다. 겨울에는 트럭 앞에 눈삽을 매달아 마을 길의 눈을 치운다. 주민들은 인근 병천장 등을 다녀올 때 고 원장 집을 일부러 들러 순대 등을 건네며 이웃간 정을 나눈다.

●동산식물원에 나무·꽃 100만그루 심어

동산식물원은 천안 병천면 유관순 열사 기념관을 끼고 국도 21호선을 타고 진천방면으로 4㎞쯤 가거나 중부고속도로 진천IC나 오창IC에서 빠져 천안방면으로 가면 나온다. 식물원 앞에 꽤 넓은 저수지가 펼쳐져 있다. 식물원 안에 있는 몇개의 작은 웅덩이에 왜가리가 날아오기도 한다. 고 원장은 "새들도 내 친구"라고 너털웃음을 터뜨린다.

그가 이 식물원을 만든 것은 1995년부터. 원예학과 교수답게 1960년대 '과수원 하나 갖고 싶다.'는 꿈에 경기 수원에 사둔 땅이 개발되면서 받은 보상금으로 지금의 땅을 구입했다. 26만㎡ 규모다. 그는 해마다 이곳에 나무와 꽃을 심었다. 한옥을 지어 넣었고, 연못도 만들었다.

1999년 정년 후에는 부인 성갑늠(72)씨의 만류를 뿌리치고 아예 이곳에 혼자 내려와 식물원을 가꿨다. 7년간 직원도 없이 혼자 밥을 해먹으면서 새벽부터 해질 무렵까지 일했다. 칡덩굴로 뒤덮인 야산을 억척스럽게 개간, 한국 고유의 전통 정원으로 바꿔놓았다. 앞서 추사고택, 오죽헌, 도산서원 등 전국을 돌며 전통 정원도 연구했다. 몇년 전 부인 성씨도 가세했다. 고 원장은 "원두막을 짓다 떨어져 갈비뼈가 부러지고, 톱질을 하다가 엄지손가락을 잘릴 뻔하는 고생도 겪었다."면서 "마누라는 '편히 살 수 있는 것을….'이라고 안타까워 하지만 내 꿈을 이루려는 것인데 무슨 대수냐."고 개의치 않았다.

식물원에는 나무와 꽃이 100만그루가 넘는다. 종류로는 벚꽃, 구절초, 맨드라미 등 1200종 이상에 이른다.

솦 속 여기저기에 에밀레종을 축소한 범종과 첨성대, 해시계 앙부일구 등 조형물을 만들어 놓았다.

●99년 은퇴후 전통정원 연구도

 고 원장은 2006년 이곳에서 국제원예학회를 열었다. 이 때문에 3억원의 빚을 졌고, 그 해부터 입장료를 받고 있으나 혹 욕을 먹지는 않을까 걱정스러운 눈치다. 그는 "75개국 원예학회 회장들이 국악공연에 맞춰 춤 추고, 박수치고 했던 그 때를 잊을 수 없다."고 회고했다.

 주변에서는 '팔아라.'고 재촉을 하지만 고 원장은 당초 계획대로 사회에 기부하는 것을 고집하고 있다. 아들 3형제와 며느리들도 팔라고 성화다. 그는 "평생 공직자로 살아왔는데 사회에 기부해야 한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기부도 그의 뜻대로 잘 되지 않았다. 자치단체 등에서 관리비 등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슆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이다.

 고 원장은 "돈 때문에 경쟁하는 늙은이도 추접스럽고, 친구들처럼 TV를 보거나 화투를 치기에는 아직 할 일이 많다. "면서 "식물원 하나 잘 만들어 놓고 가는 게 원인데, 기부를 해도 이곳에서 식물원을 가꾸면서 살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글 사진 천안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서울신문( www.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