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r Compressor로 유입되는 수분의 량
W = a x φ x Q x (<T + 273> / 273 ) / 1000
W: 유입되는 수분의 량 ( Liter/ min)
a: 흡입되는 30℃에서 포화수증기량 = 30.36g/m³
Q: Air 유량 (Nm³ / min)
φ: 흡입공기(외기)의 상대습도 75% = 0.75
T: 흡입공기(외기)의 온도 = 30℃
예) Air compressor = 100HP
압축공기의 유량 = 13Nm³/min
W = 30.36 x 0.75 x 13 x (303/273) / 1000 = 0.328 Liter/min = 437 Liter/24hr
1) Air compressor 후단의 각 기기별 응축수 배출량
AIR → AFTER → AIR → 냉동식 → 흡착식
COMP. COOLER R-TANK 드라이어 드라이어
후단노점 110℃ 40℃ 38℃ 4℃ -40℃
퍼센트 약 1% 약 70% 약 3% 약 23% 약 3%
참고 : 상기의 퍼센트는 설비의 배열 순서, AIR COMPRESSOR의기종 및 설비조건, 냉각수 온도 등에 의해 달라지므로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당사로 문의 바랍니다.
Air dryer의 종류 및 특성비교
1) 냉동식 Dryer (Refrigerated dryer)
냉동기로 공기를 냉각시켜서 공기 중의 습기를 응축 제거하는 방식이다. 일정한 압력노점을 제공하는 이 건조기는 4℃ 혹은 10℃의 도출 노점에 알맞게 크기가 만들어 질 수 있다. 냉동식 건조기의 기본 구성요소는 이중 열교환기, 냉매, compressor 응축기이다. 냉매 회로에서는 자동조절밸브가 장치되어 있으며 이 dryer의 사용범위가 가장 넓고 특히 모든 Air line이 실내에 있는 system에 적합하다. 흔히 10℃ 노점 rating이상이 가장 적합하다.
2) 흡착식 Dryer (Regenerative dryer)
활성 알루미나, 실리카겔, 분자체 같은 수분흡착제에 의한 건조방식이다. 2개의건조탱크가 연결되어 있는데 하나가 가동되어 압축공기를 건조시키는 동안 또 다른 탱크는 내부 heater나 증기열에 의해 건조 재생된다. 3가지 dryer중 노점이 가장 낮은 (보통 -40℃이며, -73℃까지 가능)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1PRM까지 수분을 제거해준다. 계장이나 control system, 실험기기나 습기에 예민한 장비를 보호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이 흡착식 dryer는 기온이 매우 낮을 때 실외 배관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3) 용해식 Dryer (deliquescent dryer)
습기를 표면에서 서서히 건조시키는 표면 흡수 방식으로 하나의 탱크로 되어있다. 이 dryer는 보정노점(compensation dew point)이 특징이다. 즉, 도출 압력 노점은 흡입공기 온도를 보정하도록 변동된다. 도출공기의 노점은 흡입공기의 온도보다 11.1℃를 노점강하(dew point suppression)으로 본다. 이 용해식 dryer는 주위온도보다 낮은 안전한 노점을 제공하도록 실외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실내, 외 설치에 무관하다.
4) Dryer의 성능 및 특성비교
종류 성능비교 |
흡착식 |
냉동식 |
용해식 | |
습기제거방법 |
흡착제사용, 표면에서 습기흡착, 포화된 흡착습 제는 건조 재생시킴. |
열 전달-습기를 응축시키기 위해 공기 냉각 |
흡수제 사용, 건조제가 습기를 흡수하여 서서히 용해됨. | |
구조 |
건조제가 채워져 있는 2개의 탱크가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유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가 있다. |
분리기나 자동배출기에 연결되어 있는 2개의 열 교환기로 구성된 air system과 compressor, 응축기(condenser), 조정밸브로 되어 있는 냉매 시스템, 이상 2개의 시스템으로 되어있다. |
단일 압력용기이다. 입구 윗부분에 있는 그림이 건조제를 지탱해준다. | |
처리능력 |
2,000M3 min |
-850M3 min |
-500M3 min | |
작동원리 |
한 개의 탱크에 습한 공기가 유입되어 건조제 층을 거치게 되면 습기가 건조제에서 흡착된다. 동시에 또 다른 탱크의 건조제는 재생된다. 모아진 습기는 전기, 증기열, 건조된 압축공기에 의해 제거된다. |
유입된 공기는 최종냉각을 위해 두 번째 열 교환기에 들어가기 이전에 첫 번째 열 교환기에서 인공적으로 냉각된다. 이 공기에서 나오는 열은 차가운 냉매로 옮겨지고, 응축된 습기는 자동 배출기를 통해 배출된다. |
큰 물방울과 고형 입자가 기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용기의 하단에 공기가 들어오면, 이 공기는 건조제 층을 거쳐 상승하면서, 건조제 정제에 이 공기중의 습기가 흡수된다. 습기와 용해된 건조제는 인위적으로 혹은 자동적으로 배출 가능한 곳으로 떨어져 고이게 된다. | |
건조제 |
실리카겔, 활성 알루미나, 분자체 |
없다 |
화학 처리된 흡수제 | |
가동을 위한 에너지 |
전기, 증기열, 건조된 압축공기 |
전기, 물 or 냉매 (air를 냉각시키는 응축기에 필요한 물 or 냉매) |
필요 없음 | |
7kg/cm³에서 압축노점 |
-40℃ (-40℉)에서 -73℃ (-100℉)일정 |
4℃ 또는 10℃ |
유입공기 온도에서 노점 11.1℃ 낮춤 노점보정 | |
오일제거 능력 |
없음 |
냉각과정 동안에 소량의 오일만을 응축시킴 |
크기가 큰 유상 오일입자를 어느 정도 제거 | |
압력손실 |
2~5 PSI |
장치크기에 따라 1~5 PSI |
1% 이하 | |
유입공기온도 |
최대 |
38℃ (100℉) |
43℃ (110℉) |
38℃ (100℉) |
최소 |
변동 |
4℃ (40℉) |
한계치 없음 | |
주위온도 |
최대 |
38℃ (100℉) |
43℃ (100℉) |
38℃ (100 |
최소 |
변동 |
4℃ (40℉) |
한계치 없음 | |
설치장소 |
실내 |
실내 |
실내 외 | |
전처리 filter |
필요 (액체가 건조제 층을 훼손시키는 것을 방지) |
권장됨 (오일이 열 교환기를 더럽히는 것을 방지) |
건조제의 코팅을 보호하기 위해서 다량의 오일이 있을 경우 권장됨 | |
후처리filter |
필요 (입자의 이동방지) |
불필요 |
불필요 | |
정비 및 보수 |
매 2~3년마다 흡착제 교환, filter 세척 및 교환. 전문기능인 필요 |
정기적으로 condenser(응축기) 핀에서 먼지 제거, 자동배출기 점검 및 세척, 전문기능인 필요 |
매 3~4개월마다 건조제 추가 보충, 보수는 필요 없음 |
Compressor의 Process System
C/V
흡입공기 → 흡입Filter → 공기 조정밸브 → Screw 본체 → Oil/Air → after cooler → Drain separator → Air charge
1. Shaft Seal Separator
2. Rotor Elements Filter
in let Bearing
3. Out let Bearing
↓
↑ Thermal by pass valve
↓
Oil Filter ← Oil Cooler
단위 환산표
압력
Pa |
bar |
Kgf/cm² |
atm |
mmHg |
1b/in²(PSI) |
1 |
1x |
1.01972x |
9.86923x |
7.50062x |
14.50x |
1x |
1 |
1.01972 |
0.986923 |
750.062 |
14.50 |
9.80665x |
0.980665 |
1 |
0.967841 |
735.559 |
14.223 |
1.01325x |
1.10325 |
1.03323 |
1 |
760.000 |
14.7 |
1.33322x10² |
1.33322x |
1.35951x |
1.31579x |
1 |
0.01934 |
유량
m³/h(CMH) |
m³/min(CMM) |
ft³/h(CFH) |
f³/min(CFM) |
ℓ/sec |
1 |
0.016667 |
35.317 |
0.58862 |
0.2778 |
60 |
1 |
2119.18 |
35.3144 |
16.666 |
0.02832 |
0.000472 |
1 |
0.01666 |
0.00786 |
1.6992 |
0.028317 |
60 |
1 |
0.47192 |
3.6 |
0.06 |
127.14 |
21.192 |
1 |
환산계수
A항을 |
B항으로 |
계수 |
U.S. gpm |
Cfm |
0.1337 |
마력(HP) |
미터 단위 마력 |
1.014 |
마력(HP) |
Ft.1b/min |
33000 |
마력(HP) |
KW |
0.7457 |
KW |
마력(HP) |
1.3410 |
Btu |
Ft-1b |
778 |
Ft.-1b |
Btu |
0.001285 |
℉ |
℃ |
(F-32)x5/9 |
℃ |
℉ |
9/5xC+32 |
뉴톤 (Newton)의 법칙
힘 (Force) = 질량 · 가속도
F = m · a
위의 식에서 가속도 a가 중력 가속도일 때에 g=9.81m/sec²이다. 1kg은 표준 주량의 값이며 4.2℃의 순수한 물 1dm³의 무게에 해당한다.
1kp는 1kg의 물체가 놓여있는 지표면에 주는 힘이다.
1. 질량 (Mass) 1kg =
2. 힘 (Force) 1kp = 9.81N
계산할 때에는 1kp≒10N
3. 온도 (Temperature) 온도 차 1℃ = 1K (Kelvin)
빙점 0℃ = 273K (Kelvin)
4. 압력 (Pressure)
① 기압 (Atmosphere, at)
공학단위에서는 절대 압력으로 사용한다.
1at = 1kp/cm² = 0.981 bar (98.1 kpa)
② 파스칼 (Pascal, Pa)
Bar (SI단위에서는 절대 압력)
1 Pa = 1N/m²=
bar
1 bar = =
pa = 102 at
③ Atm (물리단위 (Physical system of unit)에서는 절대압력)
1 atm = 1.033 at = 1.013 bar
④ 수주 (mm water gauge, mmWG)
10,000mmWG = 1 at = 0.981 bar
⑤ 수은주 (mmHg)
1 mmHg = 1 Torr
1 at = 736 Torr
1 bar = 760 Torr (mmHg)
지상에 대기압이 항상 작용하고 있지만 우리는 이를 느낄 수는 없다. 따라서 대기압 (Pamb)을 기준점으로 하여 그로부터의 차이를 나타내는 방식이 사용된다.
'경영혁신 > 생산.공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압축기 설치시 유의점/ 배관 선정 및 공기 압축기 제습/운전및 윤활관리/제습 (0) | 2011.10.12 |
---|---|
각종 공구의 공기 사용량 / 공기 압축기 종별 비교/ 공기의 기본적 Data (0) | 2011.10.01 |
압축공기에 사용 주요용어/ 제습 방법/ 일상 점검 (0) | 2011.10.01 |
Rotary 압축기 / 에어 드라이어 동작원리 (0) | 2011.10.01 |
멀티 증발기를 갖는 Air Compressor 내장형 냉동식 드라이어 시스템 (0) | 2011.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