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모바일 폰 사용자의 실시간 공간분포를 공간정보와 연동

성공을 도와주기 2015. 2. 24. 11:01

모바일 폰이 휴대하고 다녀야할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았다. 2013년 기준 국내 모바일 폰 보급은 인당 1.07대, 스마트폰 가입대수는 3,556만대로 모바일 폰 시장의 69%를 점유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모바일 폰 기반의 활동인구 빅데이터로 국민의 일상을 국토공간에 동적으로 표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모바일 폰 보급에 따른 정보기술과 인간의 융합은 정적 국토의 동적정보 생산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모바일 폰 사용자의 실시간 공간분포를 공간정보와 연동 할 수 있다면 그 활용가치는 높을 것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 폰 데이터와 공간정보를 연계하여 그 활용가치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시험적 연구로 볼 수 있다. 실증분석 대상은 수도권, 강남구, 서울대공원 등 다양한 공간위계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바일폰 빅데이터로 요일별, 시간대별 수도권 활동인구의 동적변화를 분석하여 수도권 남부의 인구집중과 북부의 직장집중 현상을 파악하였다. 또한, 대학병원, 서울대공원 등 공공시설의 활동인구 동적변화를 검토해 언제 어떤 시설의 활동인구가 많은지 분석하였다.

[목차]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ii
요 약 iii
제I장 연구의 개요 및 목적 3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1) 연구배경 3
2) 연구목적 4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 연구범위 5
2) 연구방법 6
3. 연구의 기대효과 9
1) 학술적 기여도9
2) 정책 기여도 9
4. 선행연구 검토10
1) 공간정책 선행연구 10
2) 빅데이터 관련 선행연구 10
3) 본 연구의 차별성 10
제II장 스마트 셀 형태의 활동인구 빅데이터 15
1. 스마트 셀과 활동인구 15
1) 스마트 셀의 조작적 정의 15
2) 스마트 셀과 활동인구 17
2. 해외연구사례 18
1) 셀 형태의 빅 데이터 연구 18
2) 셀 기반 공간정보 구축사례 21
3. 모바일 폰 빅데이터 현황 및 특징 23
1) 모바일 폰 빅데이터 현황 23
2) 스마트 셀의 특성 28
제III장 활동인구와 주요지표와의 관계 33
1. 활동인구와 사회경제지표와의 상관성 33
1) 활동인구와 3차 산업과의 상관성 34
2) 활동인구와 통계청 주간인구 상관성 36
2. 상주인구 대비 활동인구 비율 37
1) 활동인구/상주인구 비율 37
2) 활동인구와 상주인구 밀도 40
3) 성별, 연령별 인구구조 비교 40
3. 활동인구의 통행패턴 40
1) 수도권 광역교통 패턴 44
2) 활동인구의 원 거주지 및 시간대별 분포 45
3) 강남구 활동인구의 원 거주지 분포 47
4. 활동인구와 교통량과의 상관성 53
1) 분석자료 53
2) 상관성 분석결과53
5. 소론 54
제IV장 활동인구의 동적변화 57
1. 활동지수 산정 57
1) 산정방법 57
2) 산정결과 59
2. 활동인구 무게 중심점 변화 분석 60
1) 분석방법 60
2) 요일별, 시간대별 활동중심점 변화 61
생활시설별 활동인구 변화 70
1) 분석개요 70
2) 생활시설의 요일별 활동인구 변화 72
3) 서울대공원 활동인구 분포 75
4. 소론 78
제V장 정책제언 및 결론 81
1. 정책제언 81
1) 공간정책의 새로운 트랜드, 스마트 셀 개념 도입 필요 82
2) 국토 및 도시 측면의 정책활용방안 82
3) 교통측면 정책활용방안 84
4) 기타 정책제언 86
5) 정책활용방안 로드맵 87
2. 결 론 88
1) 연구의 성과 88
2) 연구한계 및 향후과제 88
참고문헌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