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지니스 정보/비지니스 글

'한국판 정밀의료' 시동…"1만명 빅데이터로 암 정복"

성공을 도와주기 2017. 6. 7. 22:49

'한국판 정밀의료' 시동…"1만명 빅데이터로 암 정복"


복지부·미래부, 국내 첫 정밀의료사업단 구성

의료기관정보시스템 사업단, 고대의료원-삼성SDS 선정
암환자 데이터 분석·시스템화…국내 의료기관 보급 나서
환자별 맞춤형 치료제 처방…차세대 의료혁명 주도할 것

이르면 이달 말 국내에 정밀의료 사업단이 공식 출범한다. 한국인 암 환자의 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신약을 개발하는 등 정밀의료 서비스 상용화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첫 정밀의료 사업단 출범 

7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이달 초 정밀의료사업단 구성을 확정하고 이르면 이달 말 공식 출범식을 열 계획이다. 사업단은 2021년까지 한국인에게 맞는 정밀의료 서비스 모델 등을 개발한다.

현재 의료 서비스는 의사가 환자 증상을 토대로 질환을 추정·판단해 해당 질환에 효과 있는 의약품 등을 환자에게 처방하는 방식이다. 이는 개인이 아니라 질환에 맞춘 치료다. 환자 상태나 유전자 등에 따라 치료 정확도가 다를 수 있다. 이를 보완하는 게 정밀의료다. 환자의 유전자와 생활습관 등을 토대로 환자에게 맞춤형 치료제를 처방할 수 있다. 환자 데이터를 분석해 발병 가능성이 높은 질환을 예방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정밀의료는 차세대 의료혁명으로 불린다.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 개발은 고대의료원과 삼성SDS 컨소시엄이 맡는다. 세브란스병원, 삼성서울병원, 아주대병원, 가천대 길병원, 분당 차병원 등도 참여한다.

◆한국인에 맞는 항암제 개발 

과거 암 치료는 특정한 암 환자 다수에게 듣는 약을 처방하는 방식이었다. 최근에는 환자 유전자에 맞는 표적 치료제를 투여하는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사업단은 폐암 위암 대장암 등 한국인 3대 암환자 1만 명의 유전체 정보를 토대로 맞춤형 항암제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한국인 유전자에 맞는 신약을 세 건 이상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환자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하는 클라우드 시스템도 구축할 예정이다. 의료기관마다 보유한 진료 기록을 분석할 수 있게 되면 개인의 유전체 정보, 진료 기록, 생활습관 등을 활용한 24시간 건강관리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이상헌 고대안암병원 연구부원장은 “전 국민이 암, 만성질환 등에 맞춤형 치료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정밀의료 속도 내는 中·美 

각국은 정밀의료 분야 가능성을 내다보고 관련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중국은 시진핑 국가주석 지시에 따라 국가 정밀의료 전략자문가위원회를 구성하고 2030년까지 해당 분야에 600억위안을 투입하기로 했다. 미국은 오바마 정부 때 ‘정밀의료 계획’을 확정하고 100만 명 이상의 연구 데이터를 구축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다국적 제약사들도 정밀의료를 위한 데이터와 기술 확보를 위해 유전체 기업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지난 4월 영국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는 미국 생명과학자 크레이그 벤터가 세운 휴먼롱제비티와 손잡고 10년 안에 200만 명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사업단 출범으로 한국도 첫발을 디뎠지만 정부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의료계 관계자는 “당초 4000억원 투자를 약속한 연구지원금이 800억원 규모로 줄어드는 등 정부 관심이 줄었다”며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서비스를 개발하는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