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산업환기 |
HOME > 자료실 > 산업환기 |
 | |
|
 |
산업환기 |
1. 전체환기(희석환기) |
유해물질을 오염원에서 완전히 제거하는 방법이 아니고 유해물질 농도를 희석하여 낮게 하는 방법이다. |
단점 : 작업장내의 공기전체를 환기시켜야 하므로 환기량이 많아지고 동절기나 하절기의 냉난방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기 때문에 효과적이지 못하고 완전하게 유해물질의 농도를 줄이는 것이 곤란함. |
1) 목적 |
① 국소배기대안 (이동성이 강한 작업 / 발생원이 작업장 전체에 산재해 있는 경우) |
② 유해물질의 농도를 감소시켜 건강을 유지,증진 |
③ 화재나 폭발 예방 |
④ 작업장내부 온도와 습도 조절 | |
2) 선정기준 |
① 유해물질의 독성이 낮은 경우 |
② 유해물질의 발생량이 대체로 균일한 경우 |
③동일 작업장에 다수의 오염원이 분산되어 있는 경우 |
④ 오염원이 이동성인 경우 | |
2. 국소환기 |
오염물질의 발생원(분진, 가스, 증기, 흄, 미스트)에 근접하게 설치하여 오염물질이 발생되자마자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작업장 외부로 배기시키는 방법이다. 설비는 후드(Hood), 흡입닥트, 공기정화장치, 배기FAN, 배기닥트 및 배기구 등의 각 단위설비로 이루어진 일련의 System으로 구성되며 이 순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
장점 : 오염물질 발생원에서 배기 / 적은 배기유량으로도 작업자 호흡영역 농도 저감 |
단점 : 작업방해 및 제품불량 발생 우려 / 이동작업에 적용 힘듦 | |
설계절차 |
후드모양의 재질, 크기선택 |
→ 유량계산 → 최소관내 유속과 최소압력손실을 고려한 Duct Line설계 → 오염물질의 성상에 따른 최적의 집진설비선택 → Simulation Program가동 → 최적방안 도출 → 국소환기 시스템 설계 |
|
가. 후드 유해물질을 흡인하여 닥트로 들어가도록 유도하는 장치로서 국소배기시스템의 성능을 좌우한다. 형태는 생산설비 및 작업대의 형태, 오염물질의 발생방향, 근로자의 작업방법과 동선을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후드는 발생원을 둘러싸거나, 발생원에 근접되게 설치하여야 환기효과를 크게 할 수 있으며, 배기량을 줄일수록 설치비용과 운전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
(1) 기본형식 ① 포위식(Cover Type)후드 오염공기가 외부에 유출되지 않을 정도의 비교적 적은 개구부를 갖게 되며 최소의 배기량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② 외부식 후드 작업여건상 발생원을 포위할 수 없을 경우에 후드내로 기류를 유도하여 오염물을 후드를 통해 배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외부에 기류가 일정치 않을 때에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이다.
③ 리시버식(Receiver Type)후드 발생원에서 열 부력에 의한 상승기류, 회전에 의한 관성기류등의 일정방향의 오염기류 현상이 일어날 때 기류의 방향으로 오염공기를 흡수하여 같은 방향으로 배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일견하여 외부식과 유사하나 기능면에는 차이를 갖고 있다. |
|
(2) 후드의 성능 포착속도로 나타내는데 후드의 설계시 주요한 설계인자가 된다. 후드의 포착속도 : 후드 개구면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는 오염물질을 후드에 흡인하기 위해 필요한 풍속, 주위의 각종 기류에 의한 영향을 고려한 풍속. | |
작업조건 및 공정에 따른 제어속도 |
오염물의 발산조건 |
적용사례 |
포착속도(m/sec) |
실질적인 유속없이 발생, 고요한 공기속으로 방출됨 |
용기의 액면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 증기, 흄 등 |
0.25이상~0.50미만 |
낮은 유속으로 발생, 고요한 공기속으로 방출됨 |
분무도장, 간헐적 용기충전, 저속의 콘베이어 이송 용접, 도금 산세정 |
0.50이상~1.00미만 |
비교적 높은 유속으로 발생, 빠른 기류속으로 방출됨 |
얕은 부스에서의 분무도장, 바렐충전, 콘베이어 적재, 크랏셔 |
1.00이상~2.50미만 |
높은 초기속도로서 발생, 고속의 기류영역으로 방출됨 |
그라인딩, 분사연마, 회전연마 |
2.50이상~10.00미만 | |
☞ 상기 포착속도의 범위는 다음과 같은 경우를 고려하여 사용할 것
범위의 높은쪽 - 작업장내에 방해기류가 존재할 때 - 유해물질이 고독성일 때 - 생산량이 많고 유해물질 사용이 많을 때 - 소형후드로 국소적일 때
범위의 낮은쪽 - 작업장내 기류가 낮거나 포착하기 좋을 때 - 유해물질이 저독성일 때 - 물품생산이 간헐적이고 생산량이 적을 때 - 대형후드로 유동공기량이 많을 때
|
(3)후드의 배기풍량 외부식후드 : Q=발생원에서 포착속도(V)*[10*발생원에서 후드까지의 거리(X)+개구면적(A)] 포위식후드 : Q=개구면에서의 포착속도(V)*개구면적(A) |
|
플렌지(flange)설치 효과 흡인시 후드 뒤쪽에서 모든 공기의 흐름을 방지하고 흡인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후드의 개구부에 부착하는 판으로 25%정도의 필요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