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혁신/생산.공정관리

콮프레샤 고장 수리

성공을 도와주기 2011. 10. 1. 09:46

<< 콤프레샤 고장수리 >>

 

콤푸레샤 수리(9) 압력을 사용하지 않아도 콤푸레샤가 가동을 하는 경우는

 

1. 저장된 압력이 새어나가기 때문 입니다. 배관 계통 및 작업공구 및 공구와의 연결 위치의(커풀러) 누압을 확인 하십시오.
  -콤푸레샤의 볼밸브를 잠근후 확인 하십시오
2. 배관 계통은 적절한 조치를 하시고 커풀러,역류방지변(체크밸브)등은 교환을 하십시오.
3. 역류 방지변(체크밸브)의 불량일수 있습니다. (콤푸레셔가 정지시 릴리프밸브 또는 브리더로 누압이 있는지 확인하십시요.)

4. 자동압력스위치의 가스켓이 노후되어 에어가 새는지 확인 하십시오. -자동스위치 교환

 

 

*콤푸레샤는 작동되고 있으나 멈추지 않는 경우는?

공지사항 : 콤푸레샤 수리(2) 압력이 3-5kg/cm2 까지만 올라가고 안올라 갈때-참조바람

(1) 실린더와 헤드 부분의 가스켓에 누수가 발생되었을 경우나 헤드의 중간 가스켓에서 누수가 발생되었을 경우 이런 현상이 나타나며 가스켓을 교환 하여야 한다.

(2) PUMP에서 체크밸브까지 가는 동배관의 파열 또는 누수가 발생하여 나타나는 경우는 동배관을 교환하거나 또는 나사부분을 조인다.

(3) 자동스위치의 압력 조정이 잘 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

(4) 안전밸브(안전핀)가 터지고 있는지 점검하고 이상이 있을시 교환한다.

(5) 기타 배관 라인에서 에어가 누수되고 있는지 점검하시기 바랍니다

 

* 오일캡(숨구멍)에서 콤푸레샤 작동시 오일이 뿜어지는 경우

1. 콤푸레샤 PUMP내에 오일이 너무 많이 있을 경우이런 현상이 발생됨.
- 오일을 PUMP 유량계의 2/3만큼 만 되도록 유지한다.

2. 콤푸레샤의 헤드부분 흡.배기밸브의 파손시 이런 현상이 발생 할수도 있음.
- 흡기쪽에 에어가 잘 흡입되는지 점검한 후 헤드 또는 흡.배기 밸브를 교환한다

 

 

콤푸레샤 수리(11) 콤푸레셔가 최고 지시 압력에 도달 하지 않는 경우는

1. 각 부위의 누 압 여부를 확인합니다.

2. 압력 게이지가 정상 작동 하는지를 확인 하십시오. ("0"Bar로 복귀 확인)

3. 역류 방지변(체크밸브)및 릴리프 밸브의 상태를(누압 여부) 확인 하십시오.

4. 압력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점검 하시고 스위치의 정지압력 조작여부를 결정 합니다.

5. 안전밸브에서 압력이 배출되는지 확인 하십시요

 

콤푸레샤 수리(7) 콤푸레샤의 압축은 되고 있으나 소음이 무척 큰 이유는?|

*콤푸레샤는 돌아가고 압축도 잘 되고 있는데 소음이 무척 큰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은나 다음의 경우가 대부분이다.

 

1. 콤푸레샤의 베어링이 마모되었을 경우에는 전체적 진동과 함께 웅소리가 크며  피스톤및 실린더의 마모가 빨리 진행된다.

 

2. 축이나 롯드 또는 실린더의 핀 자리가 마모되었을 경우에는 무엇을 치는 듯한 소리가 크다.

 

*헤드에서 에어가 흡입이 안되는 경우

(1)헤드의 흡.배기 밸브판이 깨졌을 경우
- 헤드교환 및 밸브 교환

(2)헤드 중간 가스켓이 흡.배기가 나누어지는 부분이 터져 있을 경우
- 가스켓 교환

(3)극히 드문 경우이나 피스톤에 구멍이 나 있는 경우--1)또는 2)항이 아닐 경우 점검
- 피스톤 및 링구 교환

(4)링구가 마모 또는 부러진 경우
- 링구교환

 

 

공기를 압축하는데 현재 까지의 기술을 가지고 공기를 압축 할 수있는 한계는..?

듸젤엔진의 실린더 내의 최고압력이 750psi이내라고 알고 있는데요,
최근에 독일에서 수입한 압축공기를 이용한 자동차세차용 기계에서는 최고 3260psi를 적용 하였읍니다.그렇다면 공기를 압축 할 수 있는 최고치는 얼마일까요?
위의 수치보다 더 높은 압력을 얻어 낼 수는 있는지, 전문적인 고견을 기대 합니다.
산업계에서는 이와같이 높은 압력의 공기를 대량으로 생산하여 우리 인류의 에너지산업에 활용이 되고 있으며, 미래에도 더욱 발전된 모습으로 거듭 날 수 있을 것 입니다.
압축 공기를 이용하는 것, 이는 바로 청정에너지 이며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며 우리 인류의 고민거리인 공해에서 한 걸음 더 벗어나게 되겠지요

JungleBass | 2005-11-17 14:15

 

토출압에 의한 분류는 표 2-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저·중·고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중압 이상은 1단식의 컴프레셔로서는 한계가 있고,
일단 압축된 공기를 다시 압 축하는 것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이것을 다단식이라고 말한다.표 2-2 컴프레셔...
홈페이지
http://www.kptc.co.kr/PISCO_KOR/easy/002.PDF 에서 검색하시고
이는 일반적인 경제 원리등을 감안한것들로 변화될수있습니다.
참고하세요
이론적으로는 무한대 까지도 현재 당진화력 발전소 증기압이 246 Kg/cm2(3500 psi)이므로
공기압을 3500psi 까지 올리는 것은 현재는 일반적인 기술이며 6000psi 까지 올린 실례가 있다고 보았는데
지금찾아보니 못찾겠네요 물론 그때는 온도 조건에따라 다르겠지만 액체 공기가 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