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보전활동 사례 소개] 훼이즈 1 ~ 4 | |||
| |||
.. | 글 정재호위원(cjmjjh1@hanmail.net) | ||
훼이즈 1 (고장 건수를 1/2 로 한다) |
|||
▣ 고장 간격의 산포를 감소 시킨다. |
|||
훼이즈 2(고장 조건을 1/5 로 한다) |
|||
▣ 평균 수명을 연장 한다. 1. 고유수명의 연장 강제열화 배제해도 수명이 짧은 것은 그 약점을 해명해서 수명의 연장을 꾀한다. (1) 설계적 약점의 개선 ☞ 강도부족 ☞ 시공불량 ☞ 가공불량 (2) 과부하에 대한 약점의 개선 설비에 대한 부하를 경감 할 수 없으면 가장 약점이 되는 부분의 강도를 높인다. (3) 사용 조건에 맞는 부품을 선정한다. 2. 우발고장의 배제 (1) 수리 MISS 대책 ☞ 수리 기초기능의 修得 ☞ 수리방법의 개선 등 (2) 오퍼레이션 MISS 대책 ☞ 조작 방법의 표준화 ☞ 포카요케의 설치 등. 3. 외관적 열화의 복원 유공압, 구동, 전기계통의 외관적 총점검과 열화복원. | |||
훼이즈 3(고장 건수을 1/10 로 한다) |
|||
정기적으로 열화를 복원한다. 1. 수명의 추정과 정기적 열화의 복원. 제1, 제2 스텝의 대책에 의해 수명은 연장되고 수명추정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정기적 열화의 복원이 그 신뢰성 면에서도, COST 면에서도 유효성이 높아진다. (1) 보전성의 개선 보전하기 쉬운 설비의 구조면세서 개선을 추가 한다. ☞ 사용 부품의 공통화 ☞ 블록 교환화 ☞ 분해, 조립의 용이화 ☞ 치공구의 개선, 전용화 ☞ 예비 부품의 기준화 (2) 정기보전의 기준화와 실시 ☞ 정기 점검 ☞ 정기 검사 ☞ 정기 정비 2. 내부 열화에 대한 오감에 의한 이상 파악. 수명의 추정이 곤란 또는 산포가 많은 것의 경우에는 징후를 파악하는 수 밖에 방법이 없다. ① 그 고장이 일어나기 전에 뭔가 이상한 징후가 없는가? ② 그 고장은 결국 징후가 있는 것일까, 없는 것일까? ③ 그 고장은 어떤 징후로 파악 할 수 있는가? ④ 그 고장은 왜 사전에 징후를 파악 할 수 없는가? ⑤ 그 고장은 어떻게 하면 징후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가? ⑥ 오퍼레이터가 그 고장의 징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어떤 지식, Skill이 필요한가? | |||
훼이즈 4(고장 조건을 “0”에 가깝게 한다.) |
|||
고장을 예지 한다. 1. 설비진단 기술에 의한 고장의 예지. 진단의 대상이 되는 고장 모드. ☞ 샘. ☞ 파손. 진동측정. ☞ 부식. 초음파측정(AZ법) ☞ 이상음. 자기, X 선 탐상. ☞ 이상온도. 분광분석(SOAP법) ☞ 이상진동. 절연측정 ☞ Oil 열화 ☞ 느슨함. ☞ 전기계통 이상. 2. 파국고장의 기술적 해석에 의한 수명의 추정과 연장. (1) 판단면의 해석 응력집중 · · · · · · · 切欠設計法 (2) 재료 피로의 해석 반복하중 교번하중 · · · · · · · SN 곡선 해석. (3) 기어 단면의 해석 (4) 전기접점 량의 해석 |
'경영혁신 > 생산.공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QRP 통합 품질시스템 (0) | 2012.07.22 |
---|---|
설비관리 시스템 및 금형관리 시스템 (0) | 2012.07.22 |
냉연강판의 제조공정 과 문제점] (0) | 2012.04.05 |
유압시스템의 보수관리 및 고장대책 (0) | 2012.03.12 |
유압시스템 보수유지 방법, 고장점검 항목 (0) | 2012.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