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main_tit.png)
팀에 스타 플레이어가 있다고,
능력 있는 팀원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혹은 팀의 약점을 개선한다고 해서
팀의 성과가 좋아지는 것이 아님.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0_tit.png)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0_ic.png)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1_tit_360.png)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2_con3.png)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arrow-2.png)
사회적 자본
신뢰와 상호의존을 기반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2_con5-1.png)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2_con6.png)
[사례] 미국 아이덱스, 구내에 텃밭을 만들어 서로 다른 부서의 사람들이 같이 텃밭을 일구면서 소통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2_tit_360.png)
![null](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2_x3.png)
![null](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2_03.png)
와튼 스쿨의 연구결과,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필요한 역할이 무엇인지 미리 정하고 그에 맞도록 사람을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함. 이러한 구조가 잘 짜여진 팀이 몇몇의 역량이 뛰어난 직원이 투입된 팀보다 성공할 확률이 더 높음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2_ic.png)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3_tit_360.png)
팀의 성과 개선을 고민할 때 보통 현재 잘 진행되고 있지 않은 부분과 그 원인을파악하여 해결책을 찾는데 집중하려는 경향이 있음. 성과를 평가할 때 긍정적인 부분보다 부정적인 부분에 집중하면 성과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큼
직원 평가시 약점/강점 초점에 따른 성과
약점에 초점을 맞췄을 때
강점에 초점을 맞췄을 때
“관리자들과 자신의 강점에 대해 논의하는것에 동기가 부여되어 일을 더 잘 수행해 낼 수 있고 그럴 의지가 생겼다”
약 1,000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조사
(심리학자 마틴 셀리그만 및 미쉘 맥콰이드의 연구 결과)
업무를 수행하는 데 큰 방해 요인이 되는 치명적 결함은 개선해야 하나, 팀의 성과 개선을 위해서는 팀원의 강점을 파악하고, 이를 사업적 니즈와 직원들 개인 관심사에 적용시켜 열정적으로 일을 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3_wei.png)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4_ic.png)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4_tit_360.png)
대부분의 팀은 종종 문제를 겪기 마련
- 프로젝트 일정 지연
- 갈등 극심
- 실패의 책임을 다른 사람에게 돌림 등
팀 멤버라면? 누구나 다른 멤버들로부터 받아들여지고 싶은 강한 욕구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arrow-1.png)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4_ox.png)
(하버드 경영대학원 ‘다양한 팀들에 대한 정성적 연구’ 결과)
팀원들이 각자의 특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다양한 관점들을 수용
자신을 드러내는 과정에서 인격적으로 존중 받는다는 느낌
팀 소속감에 대한 우려를 줄여주고 업무에 필요한 정보 교환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줌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5_bg_p.png)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5_bg_p2.png)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5_bg_p3.png)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5_tit_360.png)
와튼 스쿨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많은 기업이 팀별로 일을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상황에 대해 대응책을 미리 계획하고 모든 경우의 수에 대비한 규범을 미리 만들어 놓으려는 경향이 있음. 그러나 이는 시간이 낭비될 뿐 아니라 에너지를 분산시키기 때문에 협업 능력도 떨어뜨림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5_ic.gif)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5_box.jpg)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2/ps_05_5_quote.png)
[출처] GIH 일일정보 종합
![](http://gih.posri.re.kr/wp-content/uploads/2017/01/issue-touch_footer_logo.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