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친환경/물의 소중함

물은 미래다] <2> 물은 잘 다스려야

성공을 도와주기 2008. 10. 20. 23:06

물은 미래다] <2> 물은 잘 다스려야
해마다 물난리가 되풀이되고 있다. 여름에는 홍수가 휩쓸고 지나가고 봄·가을에는 가뭄으로 국토가 타들어 간다. 주요 하천유역에서는 15개 다목적댐이 수공(水攻)의 안전판 역할을 하고 있어 그나마 다행이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따른 돌발·집중호우가 잦아 다목적댐 홍수조절 능력도 과부하가 걸리고 있다. 물난리를 막기 위한 사전 투자와 효율적인 물관리 시스템이 재해를 줄이는 지름길이다.

▲ 충주댐 전경.27억 5000만㎥의 물을 가둘 수 있는 다목적댐으로 한강 수계의 홍수와 가뭄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충주댐 덕 한강 중하류 수해 면해

2007년 여름 한강수계에 국가적인 위기가 닥쳤었다. 장마철 평균 강우량이 898.8㎜로 예년(322.3㎜)에 비해 3배 가까이 불어났다.7월10∼22일 충주댐 유역에는 619㎜가 쏟아졌다. 예년보다 3.3배나 많았고 1973년 기상관측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상·하류 따질 것 없이 한강 유역은 비상사태가 발생했다. 특히 남한강 유역은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했다. 북한강 유역은 5개 댐이 홍수피해를 단계적으로 줄여줬지만 남한강 유역은 북한강 유역에 비해 수역이 2∼3배 넓어 상대적으로 홍수에 취약함에도 불구하고 충주댐이 전부였다. 충주댐 상류 충북 단양 지역은 도시와 논밭이 침수되기 시작했다. 도담삼봉까지 물에 잠길 정도였다. 경기 여주 지역과 한강 하류도 금방 집어삼킬 것만 같았다

 

충주댐(저수용량 27억 5000만㎥)이 버티고 있었지만 한계에 다다랐다. 계획홍수위(145m)를 불과 0.1m밖에 남겨두지 않을 만큼 최소한의 물만 내려보내고 들어오는 물을 가두면서 시간을 끌었지만 비는 쉽게 그치지 않았다.

댐 상류 단양 주민들은 도시가 물에 잠긴다며 수문을 열라고 아우성이었다. 반면 댐 중·하류 주민들은 수문을 닫으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토해양부 한강홍수통제소와 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는 충주댐 운영 이후 최대인 2만 2650㎥/s(초)가 유입됐지만 그중 40% 수준인 9050㎥/s만 조절 방류하고 있었다.

그러나 더 이상 수문을 닫아둘 수도 없었다. 계획 수위를 넘으면 댐 안전에도 문제가 생겨 일시에 더 큰 피해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상류지역 피해도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었다. 다행히 북한강 유역은 5개의 댐이 홍수를 조절해 주고 유입량도 줄어들고 있었다.

물관리센터는 한강유역 기상을 확인한 뒤 소양강댐을 비롯한 북한강 유역 댐 수문을 닫는 대신 남한강 댐 수문을 서서히 열기 시작해 방류량을 추가로 3000㎥/s 늘렸다. 댐은 곧 계획홍수위에서 0.9m의 여유를 보이면서 위급상황에서 벗어나고 단양지역도 완전 침수 위기에서 벗어났다.

충주댐으로 유입된 28억㎥ 가운데 13억㎥만 하류로 흘려보내고,15억㎥를 묶어두었다. 충주댐 하류는 하천변 378ha(113만평)의 침수를 막아 2조 1000억원의 홍수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됐다. 결국 충주댐이 버텨준 덕분에 서울 등 한강 중·하류 지역 도시는 물에 잠기는 피해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복구보다 예방사업 투자에 비중을

16일 한국수자원공사에 대한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국감에서 의원들은 한결같이 홍수와 가뭄을 막기 위해 다목적댐의 효율성을 강조했다. 수자원공사가 전국 15개 다목적댐을 관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상 기후다. 홍수 빈도가 커지고 피해도 늘어나고 있다.2002년 8월 집중호우와 태풍 루사가 한반도를 강타하면서 강원 강릉에는 하루 870.5㎜나 내렸다. 사망 209명, 실종 37명,6조원 이상의 재산피해가 났다.8조원이 넘는 복구비를 쏟아부었다. 다음해 태풍 매미도 예외 없이 큰 피해를 몰고왔다.118명이 사망하고 13명이 실종됐다. 재산피해도 4조 2000억원, 복구에 6조 5500억원이 투입됐다.2006년 7월 태풍 에위니아와 집중호우도 62명 사망에 1조 8000억원의 재산피해를 가져왔다. 피해복구비만도 3조 5125억원을 들여야 했다.

그런데도 물관리는 엉망이다. 예방 사업보다 복구비가 많은 비효율적인 투자가 되풀이되고 있다. 치수 관련 예산은 ‘치수사업비)복구비’ 구조로 돼야 하는데 우리는 거꾸로다. 댐 건설도 환경파괴, 수몰지역 주민대책 등으로 한계에 직면해 있다. 심명필(한국수자원학회장) 인하대 사회기반 시스템공학부 교수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어리석음을 저지르기 전에 치수 관련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 교수는 “자연 재해를 모두 막을 수는 없지만 최소화할 수는 있다.”면서 “재해 관련 예산을 늘리되 복구보다 예방사업에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로 홍수 피해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 홍수와 가뭄을 동시에 막는 비결은 다목적댐이라고 입을 모은다.

윤석영 한국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기후변화로 강우 규칙성이 사라지고 비 내리는 일수는 줄어드는데 강우 강도는 커져 특정 지역 홍수 피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국토가 좁고 산악지형이라서 홍수 피해를 많이 입지만 지리적 여건을 이용하면 되레 물을 자원으로 개발하고 홍수도 막을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다.”며 중소 규모 댐 건설 투자를 강조했다.

 

 [물은 미래다] 주요 하천 강우 예측… 수문 개폐 ‘나침반’

水公 물관리센터가 하는 일

 홍수피해를 줄이기 위해 주요 하천의 상·하류를 잇는 댐과 댐~하천간의 체계적인 물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4대강(한강·낙동강·금강·섬진강)에는 모두 15개의 다목적댐과 12개 용수 전용댐이 있는데 이를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곳이 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다.

▲ 수자원공사 물관리종합센터 전경. 수자원 관리·기상 전문가 50여명이 24시간 전국 주요 댐과 하천을 관리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 제공
대전의 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는 365일 군 작전 상황실 분위기를 연상케 한다. 물관리 전문가와 기상 전문가, 전산·통계요원 50여명이 24시간 전국 15개 다목적댐과 용수댐 상황판에서 눈을 떼지 않고 있다. 평소에는 자체 관리하다가 홍수 등 재해가 우려되면 국토해양부 홍수통제소와 연결된 핫라인으로 전국 주요 댐을 컨트롤한다. 가뭄이 계속될 때는 수문을 열어 방수량을 늘리고 전기 사용량이 피크에 오를 때는 발전량을 조절하는 역할도 한다. 주요 하천의 물관리 의사결정을 내리는 중추 신경인 셈이다.

2007년 충주댐 운영에서 보여주듯 치밀하고 과학적인 분석이 뒤따라야 한다. 그래서 전문가와 과학적인 장비는 필수다. 국내외 기상 전문기관의 기상 정보는 실시간으로 들어온다. 센터는 이를 근거로 주요 하천 유역 국지 기상을 분석, 강우를 예측한다.

이중에서 수공이 자체 개발한 ‘K-water홍수분석모형’은 정확성에 있어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전국 다목적댐의 유입량과 방류에 따른 하류 하천 수위, 홍수량을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를 자동 분석하는 첨단 기계다. 모든 분석자료는 1분 간격으로 생산된다. 이를 위해 주요 하천에는 자동 유량 측정기가 설치돼 있다. 수위 변화가 자동으로 센터로 들어오고 자료는 무궁화2호 위성을 통해 실시간으로 송수신 처리된다.

 

홍수 때 댐 수문을 여닫는 의사 결정은 국토해양부 홍수통제소가 지휘한다. 홍수통제소의 의사결정은 바로 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의 과학적인 분석에 근거를 둔다. 물관리센터가 분석한 지역별 댐별 홍수정보를 수집하고, 댐 상·하류 수위를 예측한 뒤 댐 방류 시기와 양을 정한다. 이를 4대강 유역에 설치된 홍수통제소에 보내면 결정에 따라 바로 수문을 여닫게 된다. 황필선 센터장은 16일 “모든 결정이 신속·정확해야 하고 한치의 오차도 허용되지 않는다.”면서 “한순간 실수나 의사결정 지연으로 인한 피해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라 늘 긴장한다.”고 말했다

 

출처: 서울신문    류찬희기자 chan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