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정보/조선

조선 산업의 개관

성공을 도와주기 2008. 11. 15. 20:36

1. 조선 산업의 개관
정의

각종 선박, 해양구조물 및 관련 기자재의 연구개발 및 설계, 생산을 위한 지식기반형 복합 엔지니어링 산업

- 해운업에서 사용되는 상선은 화물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유조선, 컨테이너선, 산적화물선, LNG선, LPG선, 차량운반선, 여객선 등으로 구분됨
- 해양개발 및 자원생산에 사용되는 선박 및 시스템은 탐사선, 해저작업선, 석유시추선, 부유식 혹은 고정식의 석유생산시스템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SRU(Floating Storage & Re-gasification Unit), Platform, TLP(Tension Leg Platform), SPAR) 등이 있음
- 이밖에 수산업을 위한 각종 어선, 군수산업에서 사용되는 각종 수상함, 잠수함 등이 있음

산업 특성

조선해양산업은 전·후방 산업 연관효과가 크고 기술, 자본 및 고용 창출형 산업

조선산업의 전후방 연관산업

- 종합 조립산업으로, 전방산업 뿐 아니라 철강, 기계, 전기, 전자, 화학 등 후방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매우 큼

조선산업의 후방산업 비중 변화

조선산업의 전후방효과(2003년)

자료 : 한국은행,「2003년 산업연관분석표」, 2006. 12.

- 설계, 생산 및 관리기술 외에 첨단 IT기술의 적용이 필수적인 산업으로, 선박의 건조공정이 매우 다양하고 대형 구조물의 제작 상 자동화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적정규모의 기능인력 확보가 필수적인 산업임

조선해양분야의 주요 제품

 

- 선대, 도크, 크레인 등 대형설비가 필수적이므로 막대한 설비자금과 장기간의 선박건조에 소요되는 운영자금이 뒷받침되어야 하는 자본 집약적 산업임
-

선박은 사업 목적 및 운항 경로에 따라 적합한 선형개발이 필요하고, 거친 해상에서의 안전 운항, 화재 및 비상탈출, 해양오염 방지를 위한 설비 구비 등에 있어 국제 표준 및 각종 국제기구의 기준을 적용해야 하는 산업임.

 

건조기간이 길고 타 산업에 비해 자본 회전율이 낮아, 즉 장기간의 선박 건조에 소요되는 운영자금을 확보해야하기 때문에 파이낸싱 및 장기 자금순환을 커버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

- 대형 선박의 경우 건조기간이 평균 2년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선박의 건조에 소요되는 각종 자재의 구입자금, 인건비 등을 감당해야함.
-

초기 견적을 제시할 때부터 건조를 완료하여 선주에게 인도할 때까지의 건조공정은 매우 복잡하고, 선박 한척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대체적으로 설계기간 7~8개월을 포함하여 1.5~2.0년 정도가 소요됨.

 

선주의 발주에 의해 선박을 건조하는 주문 생산방식의 산업이며, 수출선 건조시 높은 외화가득효과를 가짐

- 조선해양산업은 항로, 적재화물 및 선주의 요구에 따라 선종이나 선형이 달라지기 때문에 양산체제가 불가능하고 선주의 개별적인 발주에 의한 주문생산이 이뤄짐
- 세계 선박시장이 단일시장(Global Market)이기 때문에 경쟁이 치열하고 세계화가 요구되며, 종합 경쟁력이 확보될 경우 빠른 기간 내에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할 수도 있음
-

비용절감과 규제 회피를 위한 편의치적국의 활용이 빈번하고, 수입국의 수입규제가 거의 없는 제품이기 때문에 수출전략화 유망 품목으로 주요 조선국간, 기업간 경쟁이 치열함

 

건조과정이 복잡하여 경영의 종합화 및 관리 메카니즘의 최적화가 매우 중요하고, 해상물동량에 직접 영향을 주는 세계경기변화가 중요한 수요 영향요인으로 작용함

- 선박 한 척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설계, 자재구입, 생산, 품질검사, 성능검사 등 복잡한 작업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의 수행을 위해서는 마케팅, 기획, 구매, 회계 등 경영의 종합화가 필요함
-

조선해양산업의 수요산업인 해운산업은 정치적·경제적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수요의 불안정성 및 장기적인 경기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해양구조물, 각종 플랜트, 토목 건설, 기계장비 등에 진출하여 사업의 다각화를 꾀하거나, 해운, 금융, 기자재 등의 산업에 진출 함으로써 수직적·수평적 계열화를 도모하기도 함

 

선박의 가격이 대체로 고가이기 때문에 수출선 건조시 수출기여도 및 외화가득률이 높아 국가 무역수지개선에 크게 기여

- 국내 조선해양산업의 수출비율은 95%를 상회하고 있으며, ‘07년 기준 무역수지 흑자는 약 246억 달러로 우리나라 전체 무역수지 흑자(통관기준) 146억 달러를 크게 상회하고 있음

조선 및 주요 산업의 외화가득률 비교
자료 : 한국은행,「산업연관표(2003)」, 2006.

조선해양산업은 국가 방위산업이라는 관점에서도 중요하여 시장 경쟁력을 상실한 국가들도 조선해양산업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음

- 조선해양산업은 상선 및 여객선 외에 일반군함, 잠수함 및 항공모함 등 해군에서의 중요한 장비인 군용선을 건조하는 산업임
-

선진국들은 이러한 이유 때문에 경제성 측면에서 이미 뒤지고 있는 조선해양산업을 계속 유지하고 있고 특히 미국이 대표적인 사례임

 

조선해양산업은 시스템 공학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차세대 성장 동력의 견인 역할 기대

-

정보통신기술, 디지털 컨텐츠 기술, CAD/CAM 기술 그리고 지능형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 기술의 적용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조선해양산업의 활황은 차세대 성장 동력분야의 발전을 위한 수요 창출의 근간이 될 수 있음

 

최근 조선해양산업은 신에너지 운송수요의 증대, 해상 물동량의 증가, 고급 레져선박 수요 증가 및 해양공간의 활용과 심해 유전 개발에 따른 해양플랜트 수요 증가 등이 주요 트렌드

 

조선해양산업의 환경 변화
자료 : 산업자원부 "2015년 조선해양산업 발전전략"

- 특히 선박의 대형화/고속화, 디지털화 및 조선기술을 활용한 해양개발 및 공간 활용의 확대가 활발할 것으로 예상됨

 

조선해양산업은 SOLAS, MARPOL, IMO, ILO, 선급 및 해당 국가에서 요구하는 각종 기준을 적용하여 선박을 설계·건조해야 하며 그 기준은 점차 강화 추세

- 선박의 안전 및 해양오염 방지를 위한 다양한 국제규칙 (SOLAS, MARPOL, IMO 등의 Rules)
- 승무원의 환경 개선을 위한 Rules(ILO 등)
- 각종 설비 및 위생환경을 위한 Rules(USCG, USPHS 등)
- 각 화물의 안전을 위한 Rules
- 선박의 보안 강화를 위한 Rules(ISPS)

조선해양산업의 일반적 특성
자료 : 한국조선공업협회, 전게서.

최근의 조선산업은 시스템 공학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차세대 성장동력의 견인역할 기대

-

정보통신기술, 디지털 컨텐츠 기술, CAD/CAM 기술 그리고 지능형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 기술의 적용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조선산업의 활황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의 발전을 위한 수요 창출의 근간이 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