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유압 부하설계 내용
입력항목 |
- W : 하중(kgf) - μs: 정지마찰계수(선택입력) - μd: 동마찰계수 (선택입력) - V : 속도(m/sec) - t : 도달시간(sec) | |
|
출력항목 |
- 정지마찰저항 (kgf) - 운동마찰저항 (kgf) - 마찰저항 (kgf) - 관성부하 (kgf) - 부하의 최대값 (kgf) | |
※ μs, μd
NO |
조건 |
정지마찰 계수(μs) |
운동마찰 계수(μd) |
1 |
주철과주철 |
0.16 |
0.15 |
2 |
단철과단철 |
0.13 |
0.44 |
3 |
연강과연강 |
0.15 |
- |
4 |
연강과주철 |
- |
0.166 |
5 |
황동과주철 |
- |
0.157 |
2)실린더 좌굴하중
|
입력항목 |
- n : 장치조건에 따른 Rod의 단말계수 - E : Rod 재료의 종탄성 계수(kgf/cm2) - d : Rod 직경(cm) - ℓ : Rod의 길이(cm) | |
출력항목 |
- W : 좌굴하중(kgf) - I : Rod 단면의 최소 관성 모멘트(cm4) | |
|
3) 압력 손실
3. 압력 손실(△P)
입력항목 |
- D : 관 내경(m) - L : 관 길이(m) - Q : 유량(m3/sec) - ν : 오일의 (동)점도(m2/sec) -γ : 오일의 비중량(kgf/m3) - K : 관로 형상에 따른 손실 계수 - φ(θ) : 확관각에 따른 계수 | |
출력항목 |
- A : 관 단면적(m2) - V : 유속 (m/sec2) - Re : 레이놀즈 수 (2000보다 작을 경우 층류, 무차원 값) - λ : 마찰 손실 계수 (무차원 값) - △P : 압력손실(kgf/cm2) | |

|
4) Accumulator용량 / 유압 에너지원
입력항목 |
- P3 : 최고 작동압력(kgf/cm2) ㅇ P2 : 최저 작동압력(kgf/cm2) ㅇ Q : Pump 토출유량(LPM) ㅇ D1 : 작동실린더 내경(m2) ㅇ S : 작동실린더 스트로크(m) ㅇ v : 실린더 작동속도(m2/sec) | |
출력항목 |
ㅇ P1 : Gas 봉입압력(kgf/cm2) ㅇ Vx : 유효방출유량(Liter) ㅇ V1 : Accumulator 전체용량(Liter) ㅇ T0 : Oil 방출시간(sec) |
4) Accumulator용량 / 충격 흡수용 |
입력항목 |
ㅇ T : Valve 닫음시간(sec) ㅇ L : 배관길이(m) ㅇ K : Oil의 체적탄성계수(kgf/cm2) ㅇγ : Oil의 비중량(kgf/m3) ㅇ E : Pipe의 종탄성계수(kgf/cm2) ㅇ e : Pipe의 두께(mm) ㅇ d : Pipe의 내경(mm) ㅇ η : Accumulator 효율(0.9) ㅇ w : 유체의 총중량(kgf) ㅇ v : 정상흐름시 유체의 속도(m/sec) ㅇ P2 : 평균 Line압력 또는 초기 System압력 (kgf/cm2) | |
출력항목 |
ㅇTc:임계시간(sec) ㅇP1:N2 Gas 봉입압력(kgf/cm2) ㅇP3:Max. Shock 허용 압력(kgf/cm2) ㅇα :충격파의 속도(m/sec) ㅇ V1 : Accumulator 전체용량(Liter) | |

|
7) 유압실린더 선정
입력항목 |
ㅇ D : Pipe의 내경(m) ㅇ L : 배관길이(m) ㅇ T1 : System의 초기온도(℃) ㅇ T2 : System의 상승후 온도(℃) ㅇ α : Pipe재질의 열팽창 계수(1/℃) ㅇ β : 유압유의 열팽창 계수(1/℃) ㅇ P2 : 최저압력 (T1 온도하에서 시스템 압력, kgf/cm2) ㅇ P3 : 최고압력(T2 온도하에서 시스템 압력, kgf/cm2) | |
출력항목 |
ㅇ P1 : N2 Gas 봉입압력(kgf/cm2) ㅇ Vt : T1하에서의 총유체 체적(Liter) ㅇ V1 : Accumulator 전체용량(Liter | |
입력항목 |
o F : CYL'에 작용하는 최대부하(kgf) o P : 사용압력 (kgf/cm2) | |
출력항목 |
o D : TUBE 내경(φ ) o R : ROD경 (φ ) | |
※표준 TUBE 내경
NO |
표준TUBE경 |
ROD경 |
1 |
40 |
22.4 |
2 |
50 |
28 |
3 |
63 |
35.5 |
4 |
80 |
45 |
5 |
100 |
56 |
6 |
125 |
71 |
7 |
140 |
80 |
8 |
160 |
90 |
9 |
180 |
100 |
10 |
200 |
112 |
11 |
224 |
125 |
12 |
250 |
140 | |
 |
Home > 자료실 > 유압/윤활 설계 >Lub' Design |
|
 |
사업 실적
>>PILS(통합윤활관리 전산시스템) |
|
■ 포스코 화상인식 시스템 -제1,3제강- ('05.11.) ■ 포스코 크레인 화상인식 시스템 ('05.10.) ■ 라파즈한라시멘트 (주) PILS 구축 ('04.7) ■ 광양제철소 유공압 동특성 Simulation S/W 공급 ('04.6.) ■ 월성원자력 발전소 PILS 구축 ('03.5.)
■ 라파즈한라시멘트(주) PILS 구축 ('03.1.)
■ 한솔파텍(주) PILS 구축 ('02.12.)
■ PILS 국가 청정기술 보급과제 선정 ('02.10)
■ 창원특수강, 동국제강, 세아제강, 포항강판, 한솔포렘등(진행중) |
| |
>> 설비공급 |
|
■ 포스코 Bin 부착물 제거 ('05.11.) ■ 포스코 평량기 납품 ('05. 8.) ■ 현대중공업 Back Wash Filter 공급 ('05. 3.) ■ 포스코건설 6CGL 신설 전처리 Filter ('05. 1.) ■ 광양제철소 브라운 가스 절단기 공급 ('04.12.) ■ 광양제철소 열교환기 Auto Sall Cleaning System 공급 ('04.9.) ■ 포스코건설 NO.5 CGL ABF 공급 ('04.7.) ■ 광양제철소 도금 ASH 제거 장치 공급 ('04.5.) ■ 창원특수강 Oil Tank 자동 수분 제거장치 ('04.5) ■ 포항강판 NO.2 CGL 신설 AUTO FILTER 공급 ('03.4.)
■ 포항강판 NO.2 CGL 신설 FUME REMOVAL 장치 공급 ('03.3.)
■ 포항제철소 2선재 AIR COMPRESSOR 냉각수 LINE AUTO FILTER 공급 ('03.2.)
■ 광양제철소 제강크레인 권상 감속기 윤활유 스케일 제거를 위한 MOF 공급 ('03.6.)
■ 광양제철소 열연 가열로 TABLE ROLLER 감속기 스케일 제거용 MOF 공급 ('03.6.)
■ 포항제철소 3후판 연삭유 수명연장 및 작업환경 개선 ('02.8.∼'03.7)
■ 포스코 본사사옥 흡수식 및 TURBO 냉동기 에너지 및 설비효율화 사업 ('02.12.)
■ 포항제철소 산소공장 #7 질소 압축기 냉각 효율화 사업 ('02.12.)
■ 광양제철소 도금 EPC 유압서보시스템 교체 사업 ('02.11.)
■ 광양제철소 1제강 부원료 FEEDER 고착방지 ('02.10.)
■ 한국수자원공사 남강댐 유체설비 합리화 사업 ('02.10.)
■ 동양체철화학 세라타이자 이송 효율화 사업 ('02.10.)
■ 알칸대한 열연 AGC 유압시스템 진단 및 안정화 사업 ('02.5.∼8.)
■ 포항제철소 코크스 상승관, 압출기 급지장치 개선 ('01.12.∼02.5.)
■ 광양제철소 제강 전로 경동 윤활장치 개선 ('01.5.∼10.) |
| |
>> CONSULTING |
|
■ 포항제철소 선재 RSM WEAR MONITORING SYSTEM적용을 통한 설비 이상 방지 ('03.4.∼5)
■ 광양제철소 제강 전로 경동 감속기 수명연장 방안 ('03.4.)
■ 광양제철소 연삭유 부패방지 및 수명연장을 위한 체계적 관리 ('02.10.∼12.)
■ 부국산업 통합윤활관리 체재 구축 ('01.12.∼'02.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