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 품질관리 접합 용접
1. 작업기본정보
학습목표 | 1. 용접작업의 절차(WPS, PQR)를 알고 설명할 수 있다. 2. 용접작업의설비 및 환경관리를 알고 설명할 수 있다. 3. 용접작업 전의 품질관리 항목을 알고 설명할 수 있다. 4. 용접작업 중의 품질관리 항목을 알고 설명할 수 있다. 5. 용접작업 후의 검사 및 품질관리 항목을 알고 설명할 수 있다. 6. 용접검사측정기를 사용할 수 있다. 7. 외관 용접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8. 용접부가재의 보관방법, 종류, 사용에 대해 알고 설명할 수 있다. |
---|---|
전체 공정 프로세스 | 용접봉 관리 → 용접 기기관리(설비) → 용접 작업지시 → 용접 검사 → 검사기 사용법 → 용접절차 및 용접절차사양서(WPS) 이해 구성 → 용접사 검정 → 작업환경 관리 → 일상관리 → 가스관리 |
공정 기초 이해 | 1. 용접봉 관리 - 보관방법, 불출관리, 종류, 사용조건 등에 관한 이해 2. 용접 기기관리(설비) - 청소, 청결, 계측기, 단자함, 케이블, 검교정 상태를 관리 3. 용접 작업지시 - 용접도면, 용접작업부의 표식, 용접기호를 이해 4. 용접 검사 - 용접조건, 용접봉사용, 용접도면, 용접기호, 외관기준, 용접치수를 이해 5. 검사기 사용법 - 각장게이지, 비파괴검사(PT, RT)를 이해 6. 용접절차 및 용접절차사양서(WPS) 이해 구성 - 검정절차, 항목내용, 용접CODE, 고객요구사항, 모재재질 종류, 용접봉 종류, 적용 용접봉의 이해 7. 용접사 검정 - 검정절차, 시행방법, 준비과정의 이해 8. 작업환경 관리 - 용접기, 주변청소, 흄 관리, 빛 차단, 외부영향(바람, 우천, 온도, 습도 등)을 이해 9. 일상관리 - 용접기 및 주변기기 일상 점검 10. 가스관리 - 가스사용용도, 구분관리를 이해 |
설비 기초 이해 | 1. PT검사기 - 시험편 표면에 침투액을 적용시켜서 균열 등의 불연속부에 침투시킨 후 과잉 침투제를 제거하고 현상제를 적용시켜 침투된 침투액을 추출시켜 불연속부의 위치, 크기 및 지시모양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 재료에 관계없이 응용분야가 넓은 것이 특징이다. 2. MT검사기 - 강자성체로 된 시험체의 표면에 자분을 뿌려 표면 및 표면 바로 밑의 불연속(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 자분 지시를 관찰하여 불연속의 크기, 위치 및 형상 등을 검사한다. 3. RT검사기 - 방사선투과법은 엑스선, 또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제품 내부의 불연속 부분(또는 결함)을 관찰(검사)하는 방법이다. - 산업현장에서는 주로 용접부의 불연속 부위(또는 결함)을 검사할때 사용한다. - 방사성 동위원소는 주로 Ir-192, Co-60, Se-75등을 이용한다. 4. UT검사기 - 용접부위 전체에 방사선 투과하여 제품 내부의 불연속 부분(또는 결함)을 관찰(검사)하는 방법이다. |
필요공구 | 용접 및 용접 주변 기기 (용접봉, 용접 GAS, 용접기 등), 용접 품질 검사 도구 (각장게이지, 비파괴검사 도구 등)용접 환경 시설 (용접장 보호 차단막, 저울, 온·습도계, 습기 제거제, 형광등 등 물품), 용접 관리 시트 및 자료 (용접봉 불출대장, 용접봉 MSDS-물질안전 보건자료, 용접장비점검시트 등) |
'경영혁신 > 생산.공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다이캐스팅 및 설비산업의 현황과 전망 (0) | 2016.12.02 |
---|---|
알루미늄 캐스팅/다이캐스팅 불량 문답 풀이 4 (0) | 2016.11.30 |
주조 금형주조 (0) | 2016.08.16 |
뿌리기술의 정의, 현황, 분류 자료 (0) | 2016.08.16 |
단조산업개요와 분류 / 정밀 단조 (0) | 2016.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