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정책과제 및 발전전략 제시 |
(1) 정책과제 |
세계적인 과잉설비 지속과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른 경쟁격화 |
OECD를 중심으로 세계적 과잉설비에 대한 감축노력이 지속되고 있지만, 수요급증으로 공급이 부족한 중국 등의 불참으로 감축노력에 한계 노출 |
- | 미국, 일본, EU 등 선진국들은 설비과잉이 지속되지만,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중국, 동남아 등은 공급이 미치지 못해 오히려 설비신증설을 추진 |
- |
설비과잉 감축 노력은 이들 국가의 적극적인 협조 없이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도출하기 쉽지 않고 한계를 노정
|
세계적인 철강업체들이 인수·합병을 통해 제조원가 절감, 시장 확보 등의 경쟁력 강화 |
- | 주요 철강업체들이 인수·합병 또는 전략적 제휴를 활발히 추진하면서 어제의 경쟁자 관계가 오늘의 협력자 관계로 입장이 바뀌는 등 세계 철강산업의 경영환경은 급변 |
중국의 급부상과 시장 환경의 불투명 점증 |
중국의 활발한 철강수요는 세계 철강산업으로서는 장기적인 침체에서 벗어날 수 있는 호기로 작용. 그러나 예상 밖의 과도한 수요 및 생산 증가는 세계 철강시장의 불안정 초래 우려 |
- | 중국에서는 매년 2천만~3천만톤의 철강신규수요가 창출되고 있어서 CIS 붕괴 이후 침체를 거듭하던 세계철강산업으로서는 대단한 호재로 작용 |
- | 그러나 여러 가지 경제적 불안 요인이 내재되어 있는 중국은 장기적으로는 내외부의 경제·사회적 충격으로 철강수요의 둔화내지 감소 가능성도 없지 않으며, 이 경우 우리나라를 포함한 인접국에 미칠 영향은 매우 클 것으로 예상 |
수요산업의 성숙에 의한 내수 둔화 |
- | 주요 수요산업인 자동차, 조선 등의 수요산업이 성숙단계에 진입함에 따라 국내 철강산업의 수요도 장기적으로는 상당히 둔화될 것으로 전망 |
- | 철강재 내수는 외환위기 이전에는 10%대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외환위기 이후 3%대로 둔화 |
수입규제 분위기 상존 |
미국의 세이프가드 조치 발동으로 촉발된 수입규제는 EU, 중국, 캐나다 등 선진국은 물론 동남아 등 후발국으로까지 확산 | |
- | 미국, EU, 중국 등이 세이프가드조치와 기존의 반덤핑 상계관세를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수입 철강재에 대해 2중 규제를 실시 |
그러나 최근 미국의 세이프가드 조치에 대해 WTO가 협정위반 판정과 미국의 수용으로 확산 일로에 있던 철강제품 수입규제는 한숨을 돌렸으나 수입규제 재발 가능성은 상존 | |
- | 미국이 철강제품에 대해 세이프가드 조치를 발동한 원인으로 철강산업의 경쟁력 약화, 저가 제품의 수입급증 외에도 정치적인 요인이 겹쳐있기 때문에 세이프가드조치를 철회하더라도 또다른 수입억제 장치를 강구할 가능성 농후 |
(1) 정책과제 |
품질/기능 중심의 질적 성장 중시 |
철강산업은 수요 산업에 기초소재를 제공하는 산업으로서, 그동안 양적인 성장을 통해 발전해 왔으나, 앞으로는 수요산업의 고도화, 사회 안전성 향상, 환경·에너지의 제한성 등이 강조되면서 이에 대응하는 기능형, 맞춤형, 성능제어형 소재 공급이 중시
|
| ||||||||||||||||||
- | 고성능, 에너지 절감, 환경친화성 등의 특성을 갖는 고기능성 금속소재의 수요 증대 |
철강산업의 경쟁력 결정요인은 원가 경쟁력에서 품질경쟁력, 시장지배력, 연관 산업과의 교섭력 등으로 전환. |
- | 생산규모, 원가경쟁력 위주의 전통적인 비교우위 확보경쟁은 설비확충에 의한 공급과잉구조 고착 우려 |
- | 수요증가율이 높은 고부가가치·고기능성 제품에 대한 경쟁력과 시장지배력 확보가 중요해지면서 국제협력 및 학제간 공동연구 등 연계성 강화가 중요시 |
혁신기술개발, 신기술의 활용 및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성장단계 진입 |
장기적인 관점에서 철강산업의 공급과잉, 경쟁력확보를 위한 독보적인 철강제조기술의 개발에 의한 핵심기술 확보 |
- | 지속적인 원가경쟁력 확보를 위한 용융환원제철, 스트립캐스팅, 다기능 고효율 직접제강기술 등의 신 프로세스 개발 |
현재의 대량생산기술과 신기술(Nano기술, 정보통신기술)의 접목을 통한 고기능 소재의 상용화와 응용 확대 |
- | 생산성 향상을 통하여 가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혁신적인 공정기술 개발을 포함하는 기술 또는 제품으로서의 고기능성 금속소재의 높은 성장성 |
- |
자원과 환경·에너지의 유한성에 대응할 수 있는 신기능 부여 용이
|
정보화기술 도입과 표준화 촉진으로 전자상거래 확산 |
- |
신기술은 기술혁신의 여지가 큰 분야일수록 영향이 크게 나타나는데, 성숙산업의 경우 정보기술은 자동화, 전자상거래 형태로 도입되어 거래비용 및 원가절감에 기여
|
기존 기초소재의 공급뿐만 아니라 고기능성 금속소재의 공급확대를 통해 산업구조 및 소재활용에 있어서 질적 향상 뒷받침 |
- | 철강산업은 삶의 질과 안전에 관련성이 높은 교량, 항만, 건축, 발전 등의 사회간접자본과 화학, 기계, 자동차, 조선 등의 기간산업, 그리고 전자정보통신, 의료산업 등 성장산업 전반에 적용되는 소재산업으로 이들 산업의 성장잠재력을 확충 |
환경친화적 산업구조로의 전환 진입 |
산업사회 발전과 함께 환경보호를 위한 환경규제가 기후변화협약으로 구체화되면서 환경친화형 산업구조로의 전환이 철강산업에서는 더욱 중요해짐. |
- | 선진국은 ‘08~’12년 기간중 CO2 발생량을 ‘90년 대비 평균 5.2% 감축해 나가기로 의무 |
- | 자동차 등 철강 수요업체에서 유해물질을 사용치 않은 소재를 우선 구입하는 그린구매(Green Purchasing) 확산 |
- | 자동차 연료탱크소재를 Terne Sheet(Sn-Pb도금)에서 Pb Free 강판(Zn-Ni도금)으로 전환, Pb Free Solder 채택 등 |
국내 철강산업의 에너지 소비는 국내 전체의 9.7%를 점유하고 있고, 산업특성상 다량의 이산화탄소(CO2)를 배출하고 있어 산업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대응방안 마련이 시급 |
- | 질소 배출량 규제(‘03.1), 저유황유(방카C유) 사용 의무화 등 |
글로벌 협력과 통합화·전략적 제휴 적극 추진 |
90년대 이후 세계 철강산업은 글로벌 통합화, 전략적 제휴 확산으로 거대 철강기업이 출현하고 지역별 과점체제를 형성해 왔으며, 최근 들어 세계시장을 포괄하는 지역간 통합으로 발전 모색 |
- | 철강산업은 물류비 비중이 높아 통합 및 합병은 인접 국가간, 또는 동일 경제권내 통합이 주를 이루어 왔음 |
- | 세계경제의 통합화 가속으로 자본, 설비투자 및 기술의 이동이 활발해지면서 철강산업에서도 세계화 추진 여지가 높아졌으며, 성장잠재 시장에의 진출 및 최적자원배분을 목표로 글로벌화가 강화되고 있음. |
- |
무산되기는 했지만 2002년에 유럽의 Corus가 브라질 최대 철강업체인 CSN 인수 계획을 발표한 것은 철강산업에서도 지역간 통합 모색의 대표적 사례임
|
향후 철강산업은 공급과잉 지속 및 판매경쟁 심화에 따른 가격하락, 판매경쟁에 따른 무역환경의 악화, 수요산업의 대형화ㆍ통합화에 의한 구매교섭력 증대에 대한 기업들의 대응 형태에 의해 경쟁구조가 결정될 것으로 전망 |
- | 자동차산업의 Mega-Merger를 통한 교섭력 증대로 집중구매, 글로벌 구매, 전자구매 등의 전략으로 가격인하 요구 |
물류, 노사협력 등 기업경영환경 개선 |
철강산업은 특성상 물류비용이 생산원가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서 효율적인 물류관리가 경쟁력 확보의 관건 |
- | 자동차산업의 Mega-Merger를 통한 교섭력 증대로 집중구매, 글로벌 구매, 전자구매 등의 전략으로 가격인하 요구 |
'산업정보 > 철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외 철강회사 (0) | 2009.04.09 |
---|---|
철의 제조 공정 (0) | 2009.04.09 |
철강산업의 종합 평가 및 중단기 전망 (0) | 2008.11.19 |
국내 철강산업의 현 좌표 (0) | 2008.11.15 |
세계 철강산업의 주요 트렌드 (0) | 2008.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