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국내산업의 현 좌표 |
(1) 철강산업의 발전단계와 국제 분업구조상의 위치 |
생계의존형 중소유통업(‘구멍가게’, Mom & Pop)이 유통산업의 다수를 차지함 |
- | 동 국가군들은 전략적 제휴를 통한 안정적 시장질서의 구축, 고수익 생산-판매체제의 구축, 제품차별화를 통한 상대적 우위 확보에 주력 |
| ||||
뒤를 이어 중국, 동유럽 등이 높은 성장세를 시현하면서 세계 철강산업의 성장을 견인 |
- | 이들 국가군들은 국제협력 수준도 단순한 공정분업단계를 넘어 생산제품의 고급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를 배경으로 하여 선진 철강국가군 추격 단계 |
유통산업의 경쟁력을 지원하는 종합연구기관, 업종별 유통정보분석센타, SCM상설전시관 등 지원체계가 미흡함 |
- | POSCO : 세계 4위 철강사, INI Steel: 세계 3위 전기로업체 |
세계 최대의 설비능력을 갖춘 유럽과 일본 철강업계의 통합은 자연히 국내업체에도 영향 |
- | 포스코가 일본 신일철과 기술개발 등 포괄적 제휴를, 하이스코, 동국제강 등은 가와사키제철과 원료?기술제휴 등 추진 중 |
- | 국내 업체들은 노동생산성, 입지조건, 조업원가 측면에서 강점을 갖고 있지만 원료구매나 수출 등에서 불리해질 가능성 존재 |
(2) 국민경제에서의 위상 |
①국내 제조업 생산의 8.0% 차지 |
철강산업은 국내 제조업 생산의 8.0%, 부가가치의 6.6%, 수출의 4.3%를 담당 |
- | 70~90년대 중반까지의 수요 급신장 및 지속적 설비확충으로 국가경제에 기여 |
| ||||||||||||||||||||||||||||||||||
(3) 수급추이 |
② 1990년 이래 내수는 연평균 7% 성장세 |
철강내수는 90년대 전반기에는 12.4%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으나, 90년대 후반에는 외환위기 여파로 1.7% 증가에 머물렀음.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 다시 6.9%의 증가세로 회복 | |
업태별 성장전망은 전반적으로 유통산업의 환경 변화로 Category Killer(전문할인점), on-line과 Off-line의 강점만을 수용한 Hybrid Merchant, 드럭스토어 등 신업태가 지속적으로 등장할 것으로 보임 |
- | 2002년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철강소비는 917 kg으로 대만 1,003kg에 이어 세계2위 수준이며, 이는 미국 412kg, 일본 560kg, 독일 522kg 등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임 |
| ||||||||||||||||||||||||||||||||||||||||||||||||||||||||||||
③ 세계 5위 생산국으로 부상 |
철강재 생산은 1990년 2,487만 톤에서 2002년 5,168만 톤으로 증가해 연평균 6.3%의 증가율 기록 |
- | 90년대 후반부터 국내 생산증가율은 3% 대에 머물고 있음 |
- | 외환위기 이후 신규설비투자는 매우 저조한 편이어서 향후 철강생산은 더욱 둔화될 전망 |
2002년 조강생산은 4,539만 톤으로 세계 5위 철강생산국으로 세계 조강생산의 5.0%, 수출의 5.4% 점유 |
- | 우리나라는 1위 중국 181.6백만 톤, 2위 일본 107.7백만 톤, 3위 미국 92.2 백만 톤, 러시아에 이어 세계 5위 생산국이며 독일, 이태리가 우리나라의 뒤를 잇고 있음 |
- | 2002년 조강생산 중 전로제강이 2,489만 톤(55%), 전기로제강이 2,050만 톤(45%)이었음 |
| |||||||||||||||||||||||||||||||||||
④ 최근 수입 큰 폭 증가 |
2000년대 들어 건설, 자동차, 조선 등 수요산업의 생산이 호조를 보이며 철강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반해, 철강생산이 이를 충분히 뒷받침하지 못해 수입이 급증 |
- | 2000년대 들어 수입은 20% 이상의 고공 행진 |
| |||||||||||||||||||||||||||||||||||||||||||||||||||||||
핫코일 및 강반제품의 수입이 꾸준히 증가하여, 이들을 포함한 전체 철강수입은 2002년 1,400만 톤을 초과하였고, 금년에는 현재의 추세를 지속할 경우 1,500~1,6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 |
(4) 경쟁력 평가 |
① POSCO,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 보유 |
철강산업의 경쟁력 평가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비교적 최근 세계적 철강 컨설팅업체인 WSD와 일본철강신문이 발표한 자료를 통해 경쟁력을 평가 |
- | 2WSD는 요소별 점수부여에 의한 간접평가 방식을, 일본철강신문은 경쟁력 지표에 의한 직접평가 방식을 채택 |
| ||||||||||||||||||||||||||||||||||||||||||||||||||||||||||||||||||||||||
WSD는 철강업체의 제조원가, 수익성, 재무구조 등 20개 항목에 대해 최고 1점, 최저 10점씩의 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가중평균하여 철강업체의 종합적인 경쟁력 평가 |
- | WSD의 철강업체의 종합적 글로벌 경쟁력 평가에서 POSCO와 상해보강이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 |
- | 본 평가방법은 현재의 제조원가, 수익성은 물론 성장성, 기술혁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나 점수부여 방식의 평가로 인해 자의적 요소가 강하다는 점이 약점으로 지적 |
일본철강신문은 한국의 POSCO, 일본의 신일철과 JFE 스틸, 대만의 중국강철 4사의 조업실적 및 경영성과 지표를 비교함으로써 경쟁력을 평가 |
- | 위의 7사 중 직접적인 경쟁력 지표의 비교가 적절하지 않은 전기로업체인 Tata와 Nucor, 그리고 내수 위주의 중국 상해보강을 제외 |
경영실적에서는 대만의 CSC와 POSCO가 일본업체에 비해 월등히 앞섬 |
생산성이 높은 업태인 할인점, 무점포판매 등의 신업태가 확산될 경우 노동생산성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 | 경상이익, 순이익, 경상이익률, 부채비율 등 경영지표 전부문에서 POSCO와 CSC가 일본업체에 비해 매우 우수. |
- | CSC의 매상대비 경상이익률 20.6%는 세계 철강업계에서 가장 좋은 실적으로 평가되며, 이어서 POSCO의 15.6%가 두번째임 |
그러나 조업기술 지표인 1인당 철강생산, 강재 평균단가 등에서는 일본 업체인 신일본제철과 JFE가 POSCO나 CSC보다 훨씬 우수. |
- | 강재의 평균단가측면에서 일본 업체가 월등히 높다는 것은 냉연강판, 도금강판 등 고부가가치 강재의 생산비중이 높은 것을 의미하며, POSCO나 CSC 등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추구해 나가야할 부분 |
특징적인 점은 POSCO와 CSC는 생산규모에 비해 일본 업체보다 종업원 수가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음 |
- | 양국은 일본 업체에 비해 인건비가 아직 저렴하기 때문에 경쟁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지만 장기적으로는 인력구조의 개선이 과제로 부각될 것으로 예상 |
- | 신일본제철은 1997년 18,618명의 인력을 2002년 14,700명으로 21% 감축하여 1인당 조강생산량이 1997년 1,429톤에서 2002년 2,034톤으로 42% 향상되었음. 반면 POSCO는 1997년 19,263명의 인력이 2002년 19,169명으로 거의 변화가 없고, 1인당 조강생산량 역시 1997년 1,372톤에서 2002년 1,463톤으로 7% 증가에 그침 |
철강산업의 경쟁력 평가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비교적 최근 세계적 철강 컨설팅업체인 WSD와 일본철강신문이 발표한 자료를 통해 경쟁력을 평가 |
- | 2WSD는 요소별 점수부여에 의한 간접평가 방식을, 일본철강신문은 경쟁력 지표에 의한 직접평가 방식을 채택 |
| |||||||||||||||||||||||||||||||||||||||||||||||||||||||||||||||||||||||||||||||
- | 일본은 인건비 상승률이 높지 않은 반면 한국과 대만은 매년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상대적인 경쟁력은 약화되고 있음을 암시 |
이상의 경쟁력 평가를 종합하면 POSCO는 여러 측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
- | 우다만 기술적인 평가 요소에서는 아직 일본 기업에 비해 많이 뒤떨어져 있는 것으로 분석됨 |
- | 또한 최근 몇 년간 일본 업체들이 구조조정을 통해 인력의 효율성을 크게 높인 점에 주목 필요 |
'산업정보 > 철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의 제조 공정 (0) | 2009.04.09 |
---|---|
정책과제 및 발전전략 제시 (0) | 2008.11.19 |
철강산업의 종합 평가 및 중단기 전망 (0) | 2008.11.19 |
세계 철강산업의 주요 트렌드 (0) | 2008.11.15 |
철강산업의 특성 .중요성 (0) | 2008.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