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세계 철강산업의 주요 트렌드 |
(1) 세계 철강업계의 재편 |
재편 배경 |
세계 철강업계는 업체간의 통합에 의한 대형화를 통해 제조원가 절감, 시장지배력 강화 등의 경쟁력 확보 추세 |
- | 세계 철강업계는 업체간 통합에 의해 세계 5대 철강업체가 3천만 톤 이상의 대형 철강사로 변신 1996년 10대 기업에 포함되어 있던 기업 중 2002년에는 Nippon Steel, POSCO, Riva, US Steel 4사만이 존속하고, 나머지 6사는 통합으로 회사명칭마저 소멸 |
- |
세계 5대 철강사의 평균 생산량은 2002년 3,124만 톤으로 통합화가 본격화하기 전인 1996년의 1,896만 톤에 비해 65%나 증가
|
| |||||||||||||||||||||||||||||||||||||||||||||||||||||||||||||||||||||||||||||
철강업계의 통합화 배경은 전후방 연관산업의 대형화로 인한 가격 교섭력의 약화와 전세계적인 과잉설비 및 수요 둔화로 인한 경쟁력 약화를 만회하기 위한 전략 |
- | 세계 6대 자동차산업의 시장점유율은 84%에 이르고, 3대 철광석 업계의 수출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0%이나 세계 10대 철강업체의 생산비중은 전체 생산의 26% 수준에 불과 |
- |
주 수요산업인 자동차업계의 통합으로 GM, 포드, 다임러 클라이슬러, 도요다, 르노닛산, 폭스바겐 등 세계 6대 자동차 회사의 시장 점유율이 84.3%(2000년)에 이름
|
| |||||||||||||||||||||
- | 한편, 철광석은 2000년대 초반 업체간 M&A를 통해 CVRD(브라질), BHP, Rio Tinto(호주)의 세계 3대 대형사 체제로 재편 |
| ||||
- | 3사가 세계 철광석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97년 22%에서 2001년에는 32%로 확대되고, 세계 철광석 수출시장의 70% 점유 |
IISI, OECD 등의 자료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과잉설비가 1억 톤 이상으로 설비 가동률이 적정수준(92%)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 |
- | 1990년대 후반부터 중국에서 소비가 급증하고, OECD에서는 회원국을 대상으로 설비감축노력을 전개함에 따라 철강수급갭이 축소 |
- | 세계 수급갭은 1997년 2.27억톤에서 2002년 1.62억톤으로 축소되었지만 여전히 과잉상태 지속 |
- |
2002년 4월 OECD 철강 고위급 회의 결과, 참가국간 2005년까지 114~128백만 톤 규모의 비효율 철강설비 감축 합의 (외통부 보도자료, 2002. 4) |
- | 선진국 및 CIS·동구의 설비과잉 현저: 2002년 현재 EU 29백만 톤, 일본 61백만 톤, CIS·동구 118백만 톤 과잉 상태 |
- | 품목별로는 열연부문은 과잉설비가 상당히 해소되고 있으나 냉연, 아연도 강판 부문은 여전히 과잉설비가 지속: 2002년 말 기준으로 열연의 과잉설비율은 9%, 냉연코일은 15%, 아연도설비는 23%(탁승문, 2003) |
① 세계 철강업계의 재편 추이 |
’90년대 들어 생존 경쟁의 심화, 중국ㆍ아세안 등 개도국의 수요가 급증하자 비수익사업의 정리 및 핵심부문의 시장지배력 강화 등 경쟁력 향상 차원에서 전략적 제휴 및 통합화 급진전 |
- | 철강산업은 신기술이 설비에 체화되어 있는 산업의 특성상 조업기술의 확산속도가 빨라 세계적인 대형업체 간에도 차별화 요소가 적어 과거에는 전략적 제휴가 타 산업에 비해 부진한 편이었음. |
글로벌화는 경쟁범위를 국가·인접 지역에서 세계로 이행하는 추세를 반영하는 것으로 최종적으로는 시장지배력 강화를 목표로 함 |
- | 원료조달에서부터 제품개발, 생산, 판매, AS까지 전 과정에 걸쳐 원가절감 및 부가가치 극대화를 위한 무한경쟁에 돌입 |
- | 글로벌화로 기업규모가 거대화하면서 자금, 인재 등 경영자원이 집중되어 수확체증 실현 가능성 확대 |
일본 |
일본은 곤쇼크 이후 6대 고로업체의 협조체제가 붕괴하고 NKK-가와사키, 新日鐵-고베-스미토모연합의 양대 진영으로 급속히 재편 |
- | 川崎製鐵과 NKK가 2002년 10월, JFE Steel로 출범 |
- | 2002년 조강생산량 26백만 톤으로 세계 5위 기업으로 부상 |
- | 新日鐵은 住金·神鋼과의 자본제휴(02.11.13), 장기적으로 통합 가능 |
| |||||||||||||||||
유럽 |
‘90년대 중반부터 국경을 초월한 철강업체간의 통합에 의한 대형화로 Arcelor, Corus, TKS, Riva의 4대 철강업체 중심으로 재편 |
- | 고로사: 20개사(80년대)→8개사(2002년) |
Arbed(룩셈부르크), Usinor(프랑스), Aceralia(스페인) 등 유럽 3사가 합병하여 세계 최대의 Arcelor 탄생(‘02.2.18) |
- |
합병 이전에도 Usinor와 Arbed가 역내시장에서 조강류 부문 경쟁력 강화를 위해 판매합작 투자와 핵심부품 중심의 특화-생산제휴를 병행
|
| ||||||||||||||||||||||
미국 |
1997년부터 2002년 3월 철강 201조 조치 시행시점까지 34개 철강업체가 파산 신청 |
- | 34개 업체의 연간 조강생산능력은 47.5백만 톤으로 미국 철강생산능력 125백만 톤의 38%에 해당 |
미국 철강업체들은 파산업체를 대상으로 선별적인 인수·합병작업을 추진 중(산자부, 「주간해외경제동향」, 2003. 2) |
- | 2003년 2월 현재 중대형 14개 업체에 대한 인수·합병이 추진 중이거나 종료되어, 구조조정이 마무리 단계에 이름 |
- | ISG: 2002년 3월 LTV(생산능력:7.6백만 톤), 2002년 10월 Acme Steel(생산능력:1.2백만 톤), 2003년 5월 Bethlehem Steel(생산능력: 11.3백만 톤) 인수 |
- | 2Nucor: 2002년 10월 Trico Steel(생산능력:2.2백만 톤), 2002년 12월 Birmingham Steel(생산능력:2.5백만 톤) 인수 |
- | U.S.Steel: 2003년 5월 National Steel(생산능력:7백만 톤) 인수, Rouge Steel 인수 추진 중 |
- | 기타 소형(9개) 및 조강능력이 없는 가공업체(11개)도 인수/합병 추진 중 |
- |
그러나 Geneva Steel(생산능력:2.6백만 톤), Wheeling Pittsburgh(생산능력: 2.2백만 톤)은 존립이 어려운 실정
|
이번의 구조조정으로 미국 철강업계는 USS, ISG, A.K. Steel 등의 고로업체와 Nucor, Gerdau Ameristeel, Steel Dynamics 등의 미니밀 업체로 재편 |
- | USS, ISG, Nucor 3사의 미국 철강시장 점유율이 60% 수준으로 급증 |
- | 인수·합병으로 업체간 중복설비의 통폐합 및 비효율 설비의 폐쇄 등이 예상되나, 합병전 가동중지 상태에 있던 LTV, Trico Steel 등이 재가동됨에 따라 일부에서는 공급과잉 재현에 대해 우려 |
중국 |
세계 최대의 생산 및 소비국이나 생산성이 낮고, 업체들이 영세 |
- | 인당 생산량이 100톤 수준으로 매우 낮고, 700만 톤 이상 생산기업은 4개사에 불과, 대부분의 철강업체들이 50만톤 미만임 |
- | 9.5계획(1996~2000)에 의해 4대 기업 중심으로 중소형 업체를 통합하고, 고부가가치강 생산위주로 설비 재편 추진 |
- |
보산강철(859만톤), 상해야금(656만톤), 매산강철이 합병하여 중국최대의 상해보강 탄생(‘98.11)
|
| |||||||||||||||
4대 철강업체(상해보강, 안산강철, 수도강철, 무한강철)를 중심으로 대형화 계획을 추진하면서 원가경쟁력 및 시장지배력을 강화 |
- | 4대 철강사의 조강생산 비중 : (2000) 32% → (2005) 50% |
- | 정부 주도로 추진되는 중국 철강산업의 구조조정 및 경영혁신으로 생산성 및 제품 생산구조 계속 변화 |
(2) 중국의 부상 |
중국 |
80년대 후반 CIS의 붕괴와 90년대 초반 중국의 부상 | |
80년대 후반 CIS의 붕괴로 90년대 초반 세계 철강생산 및 소비는 대폭 감소 |
- |
90년대 전반기 CIS의 철강 생산 및 소비가 각각 연평균 -12.6%, -24.2% 감소하면서, 세계 철강 생산 및 소비 역시 각각 연평균 -0.5% 및 -0.8%를 기록
|
| |||||||||||||||||||||||||||||||||||||||||||||||||||||||||||||||||||||||||||||||||||||||||||||||||||||||||||||||||||||||||||||||||||||||||||||||||||||||||||||||||||||||||||||||||||||||||||||||||||||||||||||||||||||||||||||||||||||||||||||||||||||||||||||||||||||||||||||||||||||||||||||||||||||||||||||||||
90년대 중후반 중국의 급부상과 함께 세계 철강생산 및 소비는 뚜렷한 성장세로 전환 |
- |
중국은 90년대 초반 철강 생산 및 소비가 각각 6천만 톤 대로 세계 4위 수준이었으나, 10년 후인 2000년에는 생산 1.27억 톤, 소비 1.63억 톤을 기록하며 세계 최대의 생산 및 소비국으로 부상
|
| ||||||||||||||||||||||||||||||||||||||||||||||||||||||||||||||||||||||||||||||||||||||||||||||||||||||||||||||||||||||||||||||||||||||||||||||||||||||||||||||
중국은 1990~2002년 동안 철강생산 및 소비 증가가 각각 116백만 톤 및 162백만 톤으로 이 기간 세계 조강 순생산증가의 88%, 순소비증가의 110%를 차지 |
- | 이 기간, 세계 조강 생산 및 소비 증가는 각각 132백만 톤 및 147백만 톤이었음 |
- |
이 기간 중국을 제외한 세계 조강소비는 오히려 1,500만 톤 감소하였으나 중국의 소비 증가가 이를 보충하고 더 나아가 세계 철강소비를 증가세로 반전시키는데 기여
|
중국의 부상뿐만 아니라 한국, 일본, 대만 등 동북아 지역의 생산 및 소비 활동이 활발하여 이 지역이 세계 철강 생산 및 소비의 핵으로 부상 |
- | 일본, 한국에 이어 중국, 대만 등의 생산 및 소비가 급증하면서 동북아지역은 세계 철강생산의 39%, 소비의 40%를 차지 |
- | 중국은 세계 철강생산의 20%, 소비의 25%를 차지 |
(3) 교역환경 불투명 심화 |
미국, EU 등 선진국들은 한편으로는 세이프가드 조치 발동 등 수입규제를 강화하여 자국 산업을 보호하는 정책을 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수입관세 철폐 등 시장 개방과 더불어 교역의 완전 자유화를 추구하는 등 교역환경이 매우 불안정한 양상을 보임 |
- | 미국은 2002년 3월 자국 철강산업의 경쟁력 약화와 동남아의 외환위기 이후 철강재 수입급증에 대응하여 세이프가드 조치 발동 |
- | 미국이 세이프가드 조치를 발표하자 EU, 중국, 캐나다 등 철강수입국들은 미국으로의 수출철강재가 자국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세이프가드 조치를 발동함으로써 수입규제 분위기 팽배 |
- | 그러나 미국은 우리나라, EU, 일본 등이 세이프가드 조치에 대해 WTO에 협정위반으로 제소하여 2003년 11월 최종 승소하자 2003년 12월 이를 철회함으로써 철강 무역마찰의 극한 대립은 해소되었으나 향후 미국의 대응에 관심이 집중 |
- | 한편 1995년 WTO의 출범과 동시에 미국, EU, 일본, 한국, 캐나다, 스웨덴 등은 철강재 수입관세에 대해 10년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2004년부터 이를 폐지하기로 합의 |
1) 수입규제 움직임 |
미국은 2002년 3월 5일 판재류 등 14개 철강제품에 대해 향후 3년간(2002.3.20~2005.3.21) 8~30%의 고관세 및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쿼터를 병행하는 세이프가드조치 발표 |
- | 미국과 FTA를 체결한 국가(캐나다, 멕시코, 이스라엘, 요르단) 및 미국 수입시장 3% 미만의 개도국은 적용에서 제외 |
- |
주 적용대상국은 한국을 비롯하여 EU, 일본, 브라질, 러시아, 대만, 중국 등임
|
세이프가드 발동에는 미 철강산업 보호, 중간 선거를 앞둔 정치적 고려가 복합적으로 작용 |
- | 97년 이후 34개 미국철강업체가 도산하고, 내셔널스틸을 비롯한 18개 업체가 파산보호 신청을 제출 |
- | 미국 철강업계는 과중한 Legacy costs, 아시아의 외환위기로 인한 수입급증 등으로 많은 업체가 경영위기에 봉착 |
- | 미국 철강업체와 노조는 지난번 미 대선 당시 철강산업 도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입철강에 대해 40%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 |
- | 아시아 외환위기로 이 지역의 대미 철강수출이 98년을 정점으로 급증(물량기준으로 83% 증가)하였다가 점차 감소하여 정상화되고 있음 |
미국의 철강 긴급수입제한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는 한국, EU, 일본 등은 WTO에 제소하는 등 강력 반발 |
- | 한국, EU, 일본 등 8개국은 작년 3월 WTO 분쟁처리 소위원회에 제소 |
- | 2003년 7월 WTO는 세이프가드 조치가 협정에 위배된다는 1차 판결을 내렸으나 미국이 불복하고 상소 |
WTO는 2003년 11월 10일 미국이 철강제품에 대한 세이프가드를 발동해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WTO 규정위반으로 최종 판정함에 따라 미국은 2003년 12월 예정보다 1년 4개월 앞당겨 철회 |
- | 세이프가드 조치가 WTO에서 규정위반으로 최종 결론이 내려짐에 따라 미국은 제소국들의 보복관세 압력 등으로 세이프가드 조치를 철회 |
- |
WTO 판정이 강제력을 가지지는 않지만 이 결정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EU, 일본 등이 보복관세 부과 등의 압박을 가한 바 있음
|
수입규제 전 세계 수입국으로 확산 |
- | 2002년 3월 미국의 세이프가드 조치가 발표되자 EU, 중국, 캐나다, 태국, 말레이시아 등 철강 수입국들은 대미 수출물량이 자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제히 세이프가드조치를 포함한 수입규제조치를 강구 |
- |
그러나 EU 등은 미국이 세이프가드 조치를 철회할 경우 자동으로 세이프가드 조치를 종료한다는 조건을 달고 있기 때문에 이번 미국의 세이프가드 조치 철회로 세계적인 철강제품 수입규제 움직임을 상당히 완화될 전망
|
EU |
- | EU는 2002년 3월 29일 잠정 세이프가드조치 발동(6개월) 및 정식 세이프가드 조사 개시 |
- | 냉연강판 등 15개 품목의 수입쿼터량 설정(최근 3년간 (‘99~’01) 연평균 수입량 절반 + 동 분량의 10%) |
- | 쿼터 초과물량에 대해서는 품목별로 14.9%~26% 관세 부과 |
- | EU는 2002년 3월부터 잠정 세이프가드 조치 품목 15개 중 7개 품목에 대해 향후 3년간(미국의 201조 철회 시 자동 종료) 관세할당제 시행을 골자로 한 세이프가드 조치를 발표 |
- | 쿼터 초과 수입에 대해 14.1~26%의 관세를 부과하며 쿼터 물량은 초년도 10%, 2차년 도부터 매년 5%씩 증량 |
- | 대상품목은 열연강판, 냉연강판 등 7개 품목으로 잠정세이프가드 15개 품목에서 전기강판, 석도강판, 후판 등은 제외 |
- |
7개 품목 중 한국의 관심 품목은 냉연강판 1개
|
중국 |
- | 중국 역시 2002년 3월 23일 한국, 대만, 러시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등 5개국 냉연철강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사 개시 |
- | 2002년 5월 21일 수입철강재에 대해 잠정 긴급수입제한조치를 발표하고, 아울러 11개 수입철강재에 대한 정식 세이프가드 조사 개시 |
- | 일반 중후판, 일반 박판, 전기강판 등 9개 품목에 대해 6개월 간 잠정세이프가드 조치를 적용: 최근 3년간 수입량의 50%를 기본 쿼터로 하고, 초과 물량에 대해 7~26%의 추과 관세 부과 |
- | 잠정세이프가드 조치대상 9개품목과 용접 강관 및 일반 대강 등 11개 품목에 대해 정식 세이프가드 조사 개시 |
- | 잠정 세이프가드 조치 대상 11개 품목 중 5개 품목에 대해 2002년 11월 20일부터 앞으로 2년 6개월 동안 관세할당제를 골자로 한 세이프가드 조치 발표 |
- |
초과쿼터에 대해서는 품목별로 초년도에 10.3~23.6%까지 부과하되, 연차적으로 8%씩 인하
|
캐나다 |
- | 캐나다 국제무역심판소(CITT)는 2002년 3월 25일부터 수입철강재에 대한 세이프가드조치 조사 개시 |
- | 2002년 8월 20일 5개 품목의 수입철강에 대해 향후 3년간 관세쿼터(TRQ) 및 초가관세 부과 건의 |
- |
후판, 냉연강판, 형강, 강관, 철근 등 5개 품목에 대해 첫해에는 초과물량에 대해 15~25%, 2년차에는 11~18%, 3년차에는 7~12%의 추가 관세 부과
|
동남아 |
- | 말레이시아는 3월 15일부터 철강 전품목에 대해 관세 50%를 일률적으로 적용 |
- | 태국은 1월 29일부터 철강재에 대한 관세 25% 한시적 인상(6개월 간) |
2) 철강제품 수입관세 무세화 |
철강제품 무관세화
| |
세계 무역기구 설립을 위해 1994년 체결된 ‘관세및무역에관한일반협정에대한마라케쉬의정서’에 따라 주요 철강교역국들은 철강제품 관세율을 2004년까지 무세화하기로 합의 |
- | 무관세화 합의국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미국, EU, 일본, 캐나다, 스웨덴 등 6개국임. |
- | 이에 우리나라 정부는 수입 철강제품에 대해 1995년부터 10년간(1995~2004) 1990년 기준 관세율 10%에서 매년 1%씩 조정하여 2004년에는 ‘영’세율로 조정할 계획이었으나 2000년까지 관세 조정을 유예해 왔으므로 2001년부터 매년 2%씩 인하하여 2004년부터 완전 무관세화 추진 예정. |
- |
우리나라의 철강제품에 대한 기본 관세율은 1995년 이후 평균 8% 유지, 그러나 WTO 협정세율은 2003년 현재 1~2% 수준임
|
| ||||||||||||||||||||||||||||||||||||||
주요국의 관세율은 우리보다 낮은 수준 |
주요 선진국의 기본 관세율은 우리나라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고, 양허 관세율은 대부분 무세임. |
- | 대부분의 국가들의 기본 관세율은 원료나 범용제품에 비해 고부가가치 제품일수록 높게 책정 |
개도국은 선진국에 비해 높은 관세를 적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국의 철강산업을 보호하는 정책을 펴고 있음. 철강 제품 관세율은 국가별·제품별로 큰 편차를 보이고 있음. |
- |
중국의 경우 1990년대 중반까지 높은 관세율을 적용하였지만 2001년 현재 열연 5%에서 STS냉연 20%까지 관세율을 적용하는 등 점차 인하추세임.
|
| |||||||||||||||||||||||||||||||||||||||||||||||
자료 : | www.apectariff.org |
주 : | EU는 2001년 기준 WTO자료이며, 하위단위 관세율의 단순 평균임 |
- |
동남아시아의 경우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등은 여타 개도국에 비해 낮은 관세율을 적용하고 있으며, 대만도 기본관세율은 10.0~15%가 대부분이지만 양허관세율은 10% 이하를 적용함.
|
| ||||||||||||||||||||||||||||||||||||||||||||||||||||||||||||||||||||||||||||||||||||||
경쟁력 취약 품목, 수입 크게 증가 예상 | |
산업연구원의 분석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철강재에 대한 관세율을 2000년 기준관세율 4~8%를 2004년까지 0%로 인하할 경우, 전체 철강재 수입은 4.6% 증가할 것으로 추산. | |
강재의 형상에 따라 증가율이 큰 편차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조강류는 10.8%, 판재류는 7.4%, 열연코일은 3.1%, 반제품은 1.6% 늘어날 것으로 추산 |
- | 형강, 선재, 봉강 등 봉형강류의 수입증가율이 냉연강판, 열연강판, 중후판 등 판재류나 빌렛, 슬래브 등 반제품보다 훨씬 높게 나타나 조강류의 수입대체 탄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 |
- |
철근의 경우 수입증가율이 43.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아연도강판, 기타 도금강판 등이 20%로 뒤를 이어, 고부가가치 제품인 이들 제품의 수입 증가율도 매우 높을 것으로 추정
|
| |||||||||||||||||||||||||||||||||||||||||||||||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철강재에 대한 관세가 철폐되더라도 철강 원자재는 무관세화 대상에서 제외되어 현행 관세가 계속 부과될 전망 |
- | 이렇게 될 경우 제품보다 원자재의 관세가 높은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철강산업의 경쟁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
- | 2003년 현재 원자재의 관세는 철광석 1%, 유연탄 1%, 직접환원철 2%, 선철 2%, 고철 2%임 |
'산업정보 > 철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의 제조 공정 (0) | 2009.04.09 |
---|---|
정책과제 및 발전전략 제시 (0) | 2008.11.19 |
철강산업의 종합 평가 및 중단기 전망 (0) | 2008.11.19 |
국내 철강산업의 현 좌표 (0) | 2008.11.15 |
철강산업의 특성 .중요성 (0) | 2008.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