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업의 정의 및 특성 |
(1) 정의 및 대상 |
통신기기는 음성, 데이터는 물론 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의 교환, 전송 및 통신처리 기능을 갖는, 즉 통신사업자들이 서비스를 구현시킬 수 있도록 하고 구현된 서비스를 소비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 산업을 말함. | |
이러한 통신기기에는 크게 유선통신기기, 무선통신기기로 구분할 수 있음. |
- | 유선통신기기는 통신망에 접속하여 구성되는 기기로서 전화기와 전신기기 등의 단말기, 교환기, 반송장치, 그리고 전선 및 광섬유 케이블 등이 포함되며, 무선통신기기로는 전파를 처리하는 통신·방송시스템과 이동전화기·무선용 송수신기 등이 있음. |
따라서 본고에서는 일반적인 경향을 반영하여, 유선통신기기와 무선통신기기로 구분하여 파악함. |
- | 그러나 분석의 필요에 따라서는 우리나라 업체들이 동 산업에서 가지는 경쟁우위 품목을 파악한다는 차원에서 단말기와 통신장비, 그리고 기타 제품으로 구분할 수 있음. |
(2) 특성 |
1) 경제적 특성 |
통신기기는 미래의 고도 정보화 사회를 구축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산업으로 기업의 경쟁력 제고, 국민의 편익증진, 그리고 사람의 공간적 이동의 필요성을 감소시켜 도로 등 사회간접시설 확충에 대한 수요를 줄일 수 있음. |
- | 이를 통해 전 산업에 걸쳐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이루고 국제경쟁력을 제고시켜 사회경제 전반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고 있음. |
2) 기술적 특성 |
통신기기는 단말기와 통신장비에 있어 다소간 차이는 보이지만, 대체로 서비스 변화에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서비스 흐름에 대응하기 위한 대규모의 연구개발투자가 지속되고 있음. |
- | 기술 및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이 매우 짧아, 지속적인 연구개발투자가 요구되는 산업임. |
통신기기는 대규모 투자가 요구되는 산업으로 R&D의 위험부담, 여타산업에 대한 기술파급효과 그리고 기술인력에 높은 의존도를 나타냄. |
휴대폰은 디스플레이, 컴퓨터, 반도체, 전자부품 및 소재 등 첨단기술이 결집된 결정체로서 전·후방 효과가 큰 산업임. |
기술·지식 집약적 산업으로 관련기술의 융합과 응용의 폭이 확대됨으로써 지속적으로 신규 및 대체수요를 창출하고 있음. |
제품구성에 있어서는 서비스의 흐름과 국내업체의 기술진전에 따라 유선통신기기의 비중이 줄어드는 가운데, 이동통신분야의 시장확대로 휴대폰 등 무선통신기기의 생산이 크게 확대되었음. |
'산업정보 >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산업의 종합평가 및 중·단기 전망 (0) | 2009.04.25 |
---|---|
3. 국내산업의 현 좌표 (0) | 2009.04.25 |
2. 세계 통신기기산업의 주요 트렌드 (0) | 2009.04.25 |
한국 휴대폰 위기에 빛난 이유는 (0) | 2009.04.25 |
휴대폰 수요둔화와 부품업계 향후 전망 (0) | 2009.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