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친환경/친환경.Recycle,안전

개발 지상주의가 낳은 "암 마을"

성공을 도와주기 2009. 6. 21. 11:21

개발 지상주의가  낳은 "암 마을"

 숨 쉬지 마!    물도 마시지 마!

 

  
간복수에 걸려 피골이 앙상하게 마른 다이촌의 한 할머니. 다이촌 주민들은 각종 질병에 걸려 신음하고 있다.
ⓒ 환경동아리 '란톈'
중국 암마을 다이촌

중국 내륙의 장시(江西)성 러핑(樂平)시 밍커우(洺口)진 다이(戴)촌. 100여 가구의 주민들이 사는 작은 시골 마을, 다이촌이 중국 환경운동가들의 각별한 주목을 받고 있다.

 

1980년대 이래 다이촌에는 원인 모를 병이 엄습했다. 피부질환과 담석으로 시작된 괴병(怪病)은 간질환, 반신불수 등으로 발전하더니 백혈병, 암으로까지 번져 주민들의 생명을 하나둘씩 앗아갔다. 지방정부의 은폐와 방해로 정확한 통계 조사가 이뤄지지 않고 있지만, 지난 20여 년 동안 암으로 사망한 주민 수는 30명을 넘는다.

 

지난 몇 년 동안 다이촌을 방문 조사해온 장시사범대학 환경동아리 '란톈'(藍天)의 한 관계자는 "주민 대다수는 피부병, 결석, 간경화, 간복수 등을 공통적으로 앓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수년간 암과 백혈병 및 각종질환으로 사망한 환자는 해마다 7, 8명에 달한다"면서 "오직 다이촌과 그 주변 마을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현상"이라고 말했다. 2004년 다이촌의 비극이 조금씩 세상 밖으로 알려지면서, 중국 환경운동가들은 다이촌을 중국 10대 암(癌)마을 중 하나로 지정했다.

 

살기 좋은 마을 다이촌에 불어 닥친 죽음의 병

 

본래 다이촌은 드넓고 맑은 호수 러안허(樂安河)를 끼고 있는 살기 좋은 마을이었다. 예부터 러안허는 다이촌 주민들에게 기름진 곡식의 수확을 가능케 했고 풍부한 어족 자원을 제공했다. 하지만 지금 주민들은 자신들의 고향을 암마을로 변모케 한 원인이 러안허라고 단정 짓고 있다.

 

  
러안허에서 수영을 했다가 피부병에 걸린 여자 아이.
ⓒ 환경동아리 '란톈'
중국 암마을 다이촌

언제부터인지는 알 수 없지만, 러안허가 조금씩 주민들에게 고통을 안겨다 주었기 때문이었다. 러안허의 물을 마시고, 러안허의 물로 쌀과 채소를 씻고, 러안허 변에서 옷을 빤 뒤에, 주민들은 경련이나 고열에 시달리고 피부질환을 앓아야만 했다.

 

그러나 다이촌과 러안허 일대를 조사한 란톈은 비극의 주범이 따로 있음을 발견했다. 러안허 주변에 위치한 더싱(德興)제련소가 문제였다. 더싱제련소는 아시아 최대의 구리 노천광산을 끼고 있어, 1958년 조업 이래 중국에서 가장 많은 구리를 생산했다.

 

더싱제련소는 첨단시설을 갖추어 다양한 구리 제품을 생산한다고 선전하고 있지만, 제련 과정에서 오폐수 처리는 예외였다. 대량의 중금속이 함유된 공업폐수를 러안허에 그대로 쏟아낸 것이었다. 현재 오염된 러안허는 더 이상 다이촌 주민들의 생명원이 될 수 없었다. 단 한 마리의 물고기조차 살기 힘든 죽음의 호수로 변했다.

 

오늘날 중국 내에서 암마을의 비극은 다이촌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1978년 개혁개방 이래 중국 언론매체가 보도한 괴질촌이나 암마을은 헤아릴 수가 없다. 그중 47곳은 목록으로 정리되어 지도로까지 만들어졌다.

 

지난달 초 미디어 연구자인 자오징(趙京)은 구글 지도를 이용해 환경오염으로 인해 많은 암환자가 발생하는 마을 47곳을 표시한 암마을 지도('지도 원본')를 제작했다. 자오징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와 한 인터뷰에서 "지도를 제작하여 중국 내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더욱 직접적인 메시지로 전달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암환자가 대량으로 발생하는 마을 47곳을 표시한 암마을 지도.
ⓒ 자오징
중국 암마을 다이촌

 

비극은 다이촌에만 있는 게 아니었다... 중국 내 암마을 47곳

 

암마을 지도가 만들어지게 된 계기는 한 기자의 보도에서 비롯됐다. 지난 4월 탐사보도 전문기자 덩페이(鄧飛)는 홍콩 <펑황(鳳凰)주간>에 수십 명의 암환자가 발생한 허베이(河北)성 다창(大廠)현 샤뎬(夏墊)진의 실상을 보도했다. 샤뎬진은 중국 수도 베이징에서 불과 44㎞ 떨어진 마을로, 수백 년 동안 여러 개의 집단 촌락이 번성해온 지방이다.

 

평화롭던 샤뎬진에 금세기 초부터 원인을 알 수 없는 각종 질환이 발병하면서 죽음의 그림자가 도래했다. 2001년 첫 암환자가 발견된 이래 지금까지 암으로 사망한 주민만 10여 명. 적지 않은 샤뎬진 주민들은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과 사투를 벌이고 있다.

 

샤뎬진 여러 마을에서 암환자들이 발생한 원인은 다이촌과 똑같았다. 샤뎬진 서쪽에서 조업 중인 몇몇 압연기제조공장에서 폐수를 무단 방류하여 모든 식수원이 심각하게 오염됐기 때문이다. 샤뎬진은 동과 서, 북쪽이 바오치우허(鮑邱河)에 의해 포위되어 있는 지리적 특색을 지녔다.

 

바오치우허는 샤뎬진 곳곳을 가로지르는 작은 실개천들과 이어지는데, 공장폐수는 바오치우허와 그 지류, 심지어 지하수까지 오염시켰다. 덩페이는 "샤뎬진 주민들이 집단적으로 암에 걸린 것은 공장 폐수로 오염된 식수를 수년 동안 지속적으로 마셨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덩페이는 샤뎬진의 비극을 전하면서, 지난 수년간 환경오염으로 인해 암환자가 나타난 것으로 보도된 31곳 마을을 찾아내 목록을 만들었다. 덩페이는 이 31곳 마을에서만 최소 900여 명이 암으로 숨진 것을 밝혀냈다. 이렇듯 자오징은 덩페이의 보도에서 영감을 얻어 지도를 만들게 됐다.

 

자오징이 확대 정리한 47곳의 암마을은 공업이 발달한 허베이·산둥(山東)·장쑤(江蘇)·저장(浙江) 등 동부해안지방뿐만 아니라 내몽골·산시(陝西)·쓰촨(四川)·윈난(雲南) 등 내륙 곳곳에까지 분포되어 있다. 암마을이 특정 지역의 문제가 아니라 중국 전역에서 나타나는 사회문제임을 알 수 있다.

 

  
세계 전자쓰레기 처리산업의 메카 광둥(廣東)성 구이위(貴嶼)의 모든 하천과 호수는 빨래조차 할 수 없는 썩은 물로 변해버렸다.
ⓒ 모종혁
중국 암마을

 

매년 75만 명 환경오염으로 조기 사망... 썩어가는 대륙

 

중국 내 환경오염 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개혁개방정책으로 급속한 공업화의 길을 걸은 중국은 대기와 수질 오염, 폐기물 방치 등이 심각하다.

 

중국은 석탄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데 유독가스 처리시설이 미흡하여 이산화황, 매연, 산성비 등의 고통을 받고 있다. 무단 방출되는 공장 폐수와 늘어나는 생활 폐수로 주요 하천의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배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세계의 공장이라는 미명 아래 폭증하는 공업 폐기물과 도시화로 인한 생활 쓰레기가 전 대륙을 폐기물 천지로 만들고 있다.

 

오염 속에 신음하는 대륙의 현실은 수치상으로도 잘 나타난다. 중국은 이산화황 배출량과 오존층 파괴물질(ODS) 생산량이 세계 1위다. 지난 2006년 이산화황 2589만 톤, 오존층 파괴물질 4.3만 톤이 배출됐다.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2005년 53만 톤으로, 전 세계 총량의 19%를 차지해 세계 2위다. 2006년 COD 배출량은 1428만 톤으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이러한 중국의 대기오염 물질배출은 이미 세계적인 수준에 달하여 자국 문제를 떠나 세계 환경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수질 오염은 더욱 우려스럽다. 중국의 강과 호수의 70% 이상이 오염됐다. 중국 문명의 젖줄인 황허(黃河)는 주류와 지류 1만3493㎞의 물줄기 중 33.8%인 4558㎞가 최악의 오염상태인 5급수 판정을 받았다.

 

2007년 중국 국가환경보호총국이 전국 745개 하천과 호수를 비롯한 지표수 수질검사를 한 결과는 더욱 암울하다. 전체의 40%는 정화한 뒤 식수로 사용할 수 있는 1~3급수였지만 식수 사용이 불가능한 4~5급수 32%, 심하게 오염되어 공업용수로도 사용하기 힘든 지표수도 28%로 나타났다. 중국 내 대형 호수들에선 잇따라 녹조가 발생하여 식수난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극심한 환경오염은 중국인들에게 치명상을 안겨주고 있다. 지난 2007년 2월 세계은행은 보고서 <중국 환경오염의 비용>에서 "중국에서 환경오염으로 인해 매년 75만 명이 각종 질환으로 조기 사망한다"고 밝혔다. <중국 환경오염의 비용>은 세계은행이 여러 해 동안 중국정부와 공동으로 조사하여 발간한 것이었다.

 

보고서는 "심각한 대기 오염으로 35~40만 명이 죽고 30만 명은 오염된 실내공기로 인해 숨지며 6만 명은 수질오염으로 인해 복통·암 등을 일으켜 사망한다"고 지적했다. 세계은행은 중국 위생부 및 국가환경보호총국의 각종 조사 자료와 통계를 검증하여 반영했지만, 중국정부는 보고서 공개를 국내에서 금지했다.

 

  
세계은행은 <중국 환경오염의 비용>에서 매년 75만 명의 중국인이 환경오염으로 조기 사망한다고 지적했다.
ⓒ 세계은행
중국 암마을

  
주변 풍광이 수려해 아름다웠던 윈난성 쿤밍(昆明)의 뎬츠(?池)는 각종 오폐수로 인한 녹조 현상으로 인해 죽음의 호수로 변했다.
ⓒ 모종혁
중국 암마을

'환경의 복수' 부르는 개발지상주의

 

이산화황, 매연 등 오염된 공기는 호흡기관으로 흡입되어 천식, 암 등 질병을 유발한다. 과량의 불소, 비소, 황산나트륨 심지어 중금속이 함유된 물을 장기간 마시면 중독 또는 암 등 질병을 앓게 된다. 실제 환경오염으로 인해 중국 내 암 발병률은 급증하고 있다.

 

2006년 중국 도시 주민의 암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144.6명으로 전년에 비해 18.6% 늘어났다. 농촌 주민의 암 사망률도 인구 10만 명당 130.2명으로 23.1% 증가했다. 중국정부는 암 발생 원인의 75%를 환경오염으로 추산하고 있는데, 대기와 수질 오염을 그 주범으로 꼽고 있다.

 

중국정부는 <중국 암 예방과 관리규획>에서 "개혁개방 이래 20여 년간 암 사망자 수는 해마다 29.42% 증가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2000년 한 해 동안 암 발병 환자는 180~200만 명, 사망자는 140~150만 명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환경오염은 중국의 미래를 짊어질 신생아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지난 1월 홍콩 <대공보>(大公報)는 "중국에서 매년 태어나는 신생아의 4~6%, 약 100만 명이 신체장애를 안고 있다"고 보도했다. <대공보>는 "장쑤성 장애 영아를 조사한 결과 25~30%는 유전적 요인으로, 10%는 환경오염으로, 나머지는 유전과 환경오염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며 "탄광 개발로 대기와 수질 오염이 심각한 산시(山西)의 기형아 출산율이 가장 높다"고 전했다.

 

심각한 환경오염이 생명을 위협하는 수준에 이르자, 중국인들도 차츰 행동으로 나서고 있다. 작년 5월 5일 쓰촨성 청두(成都)에서 일어난 환경 기습시위는 그 대표적 사례다. 인터넷과 휴대전화로 의견을 교환하며 모인 시민 500여 명이 국영 석유기업인 페트로차이나의 펑저우(彭州) 정유공장 건설계획에 반대하며 시위를 벌였다.

 

대부분 20~30대 젊은 층이었던 시위 참가자들은 환경오염에 항의하는 의미로 흰색 마스크를 쓰고 시내를 행진했다. 이날 시위를 주도한 문인이자 언론인 탄줘런(譚作人)은 블로그를 통해 "정유공장 건설은 대기와 수질 등을 오염시켜 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할 가능성이 있기에 투명한 진행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중국정부도 지난해만 환경오염 기준을 초과한 1만5000여개 기업과 관련자 100명을 처벌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전담부서인 국가환경보호총국을 환경보호부로 승격시키기도 했다. 하지만 중국정부의 대책은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으로만 그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속에 경기부양에 주력하는 중국정부는 올해 초에만 이미 153개 대형 사업에 대한 환경 평가를 승인했다. 환경보호부도 경기 불황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야 한다며 공업 개발 승인 범위를 확대했다. 지난 4월에는 펑저우 정유공장 반대에 앞장선 탄줘런을 국가전복 혐의로 구속했다. 결국 낡은 성장 모델에만 매달리는 중국정부가 바로 암마을의 비극을 낳은 주범인 셈이다.

 

  

쓰촨대지진으로 파괴된 화학공장에서 유출된 유독가스와 물질로 철로가 부식되고 샛도랑은 오염됐다. 대지진 후 한동안 수면 아래 가라앉았던 펑저우 정유공장 건설 계획은 올해 들어 추진이 가속화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