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지니스 정보/비지니스 글

한국, ‘큰손’ 중국에 웃다가 울라…“의존도 낮춰라”

성공을 도와주기 2011. 2. 18. 06:54

한국, ‘큰손’ 중국에 웃다가 울라…“의존도 낮춰라”
중 1% 클때마다 한국 수출 1.9%p 늘어
중국경기 둔화 돌아서면 ‘직격탄’ 우려
“신흥국 수출 확대·수입 다변화로 대비”
한겨레 이순혁 기자 메일보내기
» 중국 베이징의 최대 번화가 왕푸징 거리에서 지난 2008년 8월 롯데백화점이 개점 행사를 열어 직원들이 거리의 시민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중국의 길 실험과 도전]
3부: 중국굴기와 한국
② 중국에 매달린 한국경제

» 한국의 대중국 수출 성장
‘세계의 공장’에서 ‘세계의 시장’으로.

최근 세계 경제에서 중국의 위상변화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말이다. 1978년 개혁·개방에 나선 뒤 값싼 노동력에 기대 잡다한 상품들을 생산하고 세계 각국에 수출하는 나라 정도로 인식됐는데, 어느덧 세계 경제의 ‘큰손’이 돼 있더란 것이다. 실제 지난달 미국을 국빈 방문한 후진타오 중국 주석이 선심 쓰듯 보잉기 200대 구매(190억달러 상당)라는 선물을 내놓은 것은 미국과 중국의 달라진 처지와 위상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중국 경제가 이렇게 커오는 과정에서 우리나라는 그 덕을 톡톡히 봤다. 중국의 각종 원자재와 중간재 수입이 급증해, 국내 기업들은 특수를 한껏 누린 것이다. 2003년부터 중국은 우리나라 최대 수출시장으로 떠올랐고, 홍콩을 포함하면 우리나라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30%를 넘어섰다.

이렇듯 중국 중심의 국제분업 시스템에 적극 가담한 결과 ‘세계의 공장’이 잘나가면 우리 경제도 함께 잘나갈 수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중국 의존도를 너무 높이는 결과를 낳았다.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1% 오르면 우리나라의 중국 수출증가율도 1.9%포인트 상승했는데, 반대로 중국의 경기가 둔화하면 우리 경제에도 곧바로 주름살이 생기는 구조인 셈이다. 또 중국의 인플레이션은 1~2달 시차를 두고 한국 생산자물가와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끼치는데, 삼성경제연구소는 최근 중국 소비자물가가 1% 상승하면 우리나라의 생산자물가는 최대 0.11%가 오르고 소비자물가는 0.04%가 오른다는 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원유가격 1% 인상이 소비자물가를 0.03% 상승하게 하는 것을 감안하면 결코 작지 않은 변수다.

문제는 중국이 지금까지의 고성장을 얼마나 더 이어가고, 우리 경제와 동반자적 관계를 언제까지 유지할 수 있느냐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후진타오 2기 지도부 임기인 2012년까지는 ‘불안정한 고성장’이 지속되리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지만, 새 지도부가 들어선 뒤에는 ‘내실 속 저성장’으로 방향이 바뀔 수 있다는 전망이 많다. 또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 등으로 위안화 절상(가치 상승) 압력이 가중되는 상황인데, 이는 중국의 수출 증가율 둔화→우리나라의 대중 수출 둔화로 이어진다. 인플레이션 압박에 따른 중국 당국의 긴축정책은 이미 우리 경제의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결국 우리 경제도 이런 변화에 적응하려면 대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준비 작업이 필수다. 인도와 중남미, 아프리카 등 신흥시장 수출 확대에 주력해야 하며, 수입 대부분을 중국에 의존하는 농산물과 섬유류 등의 수입다변화를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중국경제와 우리 경제가 맺고 있는 관계의 성격이 변해가고 있다는 점에 더 주목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중국의 주력상품은 값싼 경공업 제품에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옮겨가며 우리나라 주력 수출품목과 직접적인 경쟁관계에 놓이게 됐기 때문이다

 

물론 섣부른 비관론에 빠질 필요는 없다. 분명한 것은 최근 10여년 중국을 지렛대 삼아 한국 경제가 성장해온 것 이상으로, 비상하는 중국 경제의 도도한 흐름을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향후 10년의 미래도 걸려있다는 점이다. 박래정 엘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중국의 발전 양상을 봤을 때) 한국의 경쟁우위는 몇몇 산업 분야에 국한될 가능성이 높다”며 “중국 시장을 촉매로 하는 한국 경제의 성장도 앞날이 어두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