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세계 자동차산업의 주요 트렌드 |
세계 자동차산업은 시장, 상품, 기술 등의 측면에서 패러다임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음. |
- | 심각한 공급과잉으로 인하여 업체간에 치열한 가격경쟁에 돌입하였고, 소비자 기호의 다양화로 신제품 출시 사이클이 빨라지고 있으며 정부의 안전과 환경에 대한 규제 강화로 기술개발과 연구투자에 의한 업체의 부담은 더욱 늘어가고 있음. |
- | 북미, 일본, 서유럽 등 주요시장의 수요 포화로 인해 선진기업들은 아시아, 중남미, 동유럽 등의 신흥시장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에 돌입함. |
- | 이러한 전략을 구사하기 위하여 전략적 제휴나 인수 및 합병의 대상으로 물색하고 있어 산업의 구조조정도 예상되고 있음. |
(1) 세계자동차산업의 주요 동향 |
1) 글로벌 경쟁구도의 변화 |
□ 업체간의 판도변화와 신흥업체의 등장 |
최근 세계 자동차산업의 구조조정은 미국과 유럽업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본업체들은 약진을 지속 |
최근 몇 년간 GM과 포드가 세계 자동차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큰 폭으로 감소한 반면, 도요타, 혼다, 현대·기아차 등은 증가 |
- | 그 결과 도요타는 2007년 971만대 생산으로 세계 1위의 자동차 생산업체로 부상하였음. |
- | 반면, GM은 961만대 생산으로 전년대비 0.1% 증가에 그쳐 도요타에게 세계 1위 생산업체 자리를 내주었으며 포드와 크라이슬러도 각각 782만대, 257만대 생산으로 전년대비 1.5%, -0.3%의 증감률을 기록하였음. |
- | 폴크스바겐은 2007년 비용절감과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신흥시장에서의 판매 증가로 인해 654만대 생산으로 전년대비 10.5%의 높은 증가세를 기록하며 최근 몇 년간의 부진을 회복하였음. |
|
GM과 포드의 텃밭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시장에서도 일본 및 한국업체들의 시장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상승 |
- | 1995년 미국 Big 3의 시장점유율은 73.1%였으나 2007년에는 51.1%로 대폭 감소한 반면, 일본과 한국업체의 점유율은 각각 22.9% 및 1.3%에서 36.9% 및 4.8%로 증가 |
일본업체들은 2~3개의 브랜드를 보유하면서 시장의 변화에 적절하고 빠르게 대응하고 있으며, 과감한 합리화를 추진하여 경영의 비효율성을 줄여 경쟁력을 제고 |
- | 특히 도요타는 산업환경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고 제품개발 과정, 지식습득 방법에 있어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접근방식을 채택하면서 세계시장에서 급속히 성장하여 최근 경영위기를 겪고 있는 GM과 포드를 제치고 세계 1위로 급부상 |
한편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중국과 인도의 토종 완성차업체들이 등장하고 있음. |
- | 이들 신흥업체들은 중국과 인도에 진출해 있는 해외선진업체들과의 제휴나 인수를 통하여 기술력을 축적하고 있으며 성장 초기단계부터 세계 시장을 겨냥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 |
- | 기술 및 브랜드 등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저가차 개발을 통하여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있음. |
□ 글로벌 조달 및 생산 네트워크의 구축 |
완성차업체의 해외직접투자 및 생산제휴의 증가에 따라 대형 완성차업체의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구축이 가속화 |
- | 선진국 완성차업체들은 동구권 국가의 EU 가입에 따른 인센티브 축소에 대응하고, 중국시장 선점 차원에서 이들 국가에 대한 직접투자를 확대 |
- | 부품의 글로벌 소싱확대, 신흥자동차 시장의 수요증가, 지역별로 차별화된 차량 생산을 위해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가 구축되고 있음. |
완성차업체의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구축은 생산과 판매의 효율성 증대, 지역 및 기술우위를 통합 제품원가 절감, 안정적 시장확보 등을 목적으로 진행되고 있음. |
완성차업체들은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구축으로 인해 소비자 니즈변화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게 되어 지역 및 차급간 경계가 붕괴되고 있음. |
- | 미국업체들이 강점을 지니고 있던 Pick-up트럭에 일본업체들이 진출하고 있으며 미국업체들은 승용차를 강화하고, 고급차업체들이 소형차 시장에 진출하고 대중차업체들은 고급차 시장에 진출하는 사례 증가 |
- | 과거 완성차시장에서 유지되고 있던 업체에 따른 지역별, 차급별 경계가 붕괴되면서 경쟁이 강화되고 있음. |
2) 세계 자동차 수요의 변화 |
□ 신흥 시장의 수요 확대 |
최근 세계 자동차 수요는 미국과 서유럽에서 정체되어 있는 반면 중국과 인도를 비롯한 신흥개도국의 수요는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어 선진시장과 신흥시장간의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
- | 2000년대 이후 자동차수요 평균성장률은 선진시장의 경우 -0.2%를 기록하였으나 신흥시장은 12.9%의 성장률을 보여 대조를 이룸. |
2007년의 경우 자동차 수요의 42.6%가 신흥시장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2010년에는 약 47.9%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 |
- | 최근 경제 발전으로 신흥국들의 수요가 상당히 증가하기는 했지만 신흥국의 방대한 인구 규모에 비하면 현재의 자동차 수요는 미흡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음. |
- | 선진시장의 경우 수요가 많기는 하지만 사실상 포화상태에 들어가 더 이상의 증가를 기대하기 어렵지만, 신흥시장은 성장가능성이 무한한 것으로 평가 |
|
향후 세계 자동차시장의 성장 동력은 신흥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 |
- | 예를 들면 2005년 중국의 자동차 수요는 576만대이고, 이 가운데 승용차 수요는 391만대에 불과하지만 13억 인구의 중국인이 한국 수준으로 자동차를 보유하게 될 경우 대략 4억 3천만대의 자동차를 보유하며 연간 자동차 수요는 약 5천만대 규모에 달함. |
- | 인도, 브라질 등도 잠재력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언제, 어떤 규모로 자동차대중화(motorization)가 이루어질지는 현재로서는 단정하기 어렵지만, 향후의 자동차 수요가 이들 신흥시장에 의해 주도될 것이라는 점은 분명 |
2007년 국가별 자동차 내수규모는 미국(1,646만대), 중국(879만대), 일본(535만대), 독일(348만대), 영국(279만대) 순으로 중국의 비중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 높아지고 있음. |
- | 또한 러시아는 높은 경제성장에 따라 자동차내수가 2004년 이후 매년 10% 이상 성장해 2007년 264만대로 세계 7위로 올라섰음. |
□ 소비자 니즈의 다양한 변화 |
생활수준 향상과 기술 발전으로 소비자들의 요구 수준이 높아지고,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자동차에 대한 개념이 변화되면서 소비자의 니즈를 맞추기 위한 업체들의 부담이 증가되고 있음. |
- | 소비자들의 니즈가 다양해지면서 기존의 콘셉과는 다른 다양한 형태의 자동차 모델들이 등장하고 있음. |
- | 이들은 서로 다른 특성과 용도를 가진 두 가지 이상의 제품 컨셉이나 차종을 하나의 제품에 복합시킨 것으로서, 기존의 전통적인 개념으로는 분류하기 어려운 속성을 갖고 있는데 이러한 개념으로 크로스오버 자동차(CUV : cross-over utility vehicle)가 최근 인기를 끌고 있음. |
자동차의 주행특성이 갈수록 비슷해지는 요즘 차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과 통신, 편의장비가 차별화된 주된 요소로 부각 |
- | 이와 같이 완성차업체들은 더욱 더 운전자들이 좋아하는 소형전자제품을 차량에 장착하여 고가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부터 위성 라디오, 뒷좌석의 비디오 모니터 등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자동차 안에 장착하고 있음. |
이러한 소비자 니즈의 변화에는 소비 주도세력이 교체되고 있는 것에서 기인하고 있음. |
- | 특히 미국시장의 경우 신세대 층인 X, Y세대들이 주요 소비계층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자동차 판매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도 놓아지고 있는 추세임. |
- | 완성차업체들은 신세대 소비자들의 차별화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CUV 등 다양한 카테고리의 차종을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들 소비계층의 생활양식과 결부하여 자동차에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를 가미한 신모델들을 출시하고 있음. |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각 업체의 노력은 신차개발의 경쟁으로 이어지고 있음. |
- | 뿐만 아니라 경쟁업체의 신규모델의 투입에 대응하기 위해 모델의 교체주기 역시 짧아지고 있는 실정 |
- | 현재 신규모델의 개발비용은 업체에 따라 차이는 나지만 약 2~3천억 달러 규모에 달하고 있어, 각 업체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음. |
3) 환경·안전강화에 따른 기술개발 가속화 |
□ 환경 및 안전규제의 강화 |
최근 세계 자동차업계는 경기 침체 속에 환경·안전기술 개발의 가속화, e-비즈니스와 서비스 사업의 강화, 모듈(modular) 생산의 확대 등 ‘3대혁명’에 직면 |
- | 선진국 정부의 차량 사고 시 보행자 및 탑승객 안전, 폐차의 회수 및 재활용, 연비 규제 등의 강화로 자동차업체의 부담 가중 |
- | 가솔린 및 디젤엔진 관련 배기가스 배출량을 법적으로 규제하고 있으며, 관련 기술의 개발뿐 아니라 차량의 디자인 개선 요구 증가 |
자동차관련 환경기술의 개발 현황은 지배적인 기술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로 지역/메이커별로 개발 전략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기술표준화를 둘러싼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음. |
- | 이러한 기술경쟁에서의 생존여부가 향후 자동차산업의 판도를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인식아래, 각국 정부는 패러다임의 변화로 발생하는 개발비용, 인프라 구축 등에 적극적인 지원정책을 수립·운용하고 있음. |
|
□ e-전환(transformation)의 가속화 |
최근 완성차업계는 자동차와 전자통신 기술이 접목된 안전 지향형 시스템인 텔레매틱스(telematics) 시스템과 서비스를 개발하여 고객만족을 실현시키고 있음 |
- | 이를 선도하고 있는 GM은 온스타 사업부를 신설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강화 |
- | 유럽 자동차업계는 2010년에 EU 5대 자동차 대국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의 차량 소유자들이 동 시스템에 140억 달러 이상을 지출할 것으로 예상 |
- | 이미 위성을 이용한 실시간 교통 정보 시스템, 전방주시 카메라와 함께 작동하는 센서, 도난 차량 위치 추적 시스템, 차량내 전자 메일 및 음성메일 서비스, 차량내 장착 주문형 비디오 및 게임 장치 등을 상용 |
세계 완성차업체들은 텔레매틱스로 대표되는 IT 및 통신기술의 적용을 통해 차량정보화에 대규모 투자를 실시 |
- | 텔레매틱스는 위치추적시스템(GPS)과 무선통신기술을 결합하여 실시간 교통정보, 원격차량관리, 긴급구조 서비스, 컨텐츠 다운로드, 실시간 e-mail 수신 등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를 통해 최적의 운전환경을 제공하는 차량용 통합정보시스템 등으로 구성 |
- | 텔레매틱스는 운전자의 안전과 생활공간으로써 자동차의 편의성을 크게 제고함으로써 자동차 사용과정에서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가능하게 함. |
- | 또한, 이러한 서비스제공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함으로써 자동차업체의 수익성 제고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임 |
- | 자동차메이커들은 이러한 이유로 텔레매틱스 기술개발과 서비스 확대에 경쟁적으로 진출하고 있으며 선진국 자동차업체들은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화됨에 따라 차종별 외형과 성능의 차별화를 추진 |
|
'산업정보 >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의 종합 평가 및 중단기 전망 (0) | 2008.11.19 |
---|---|
국내산업의 현 좌표 (0) | 2008.11.19 |
자동차 산업의 개관 (0) | 2008.11.15 |
미래형 자동차 개발 방향과 대중화 조건 (0) | 2008.11.06 |
자동차산업, 당분간 ‘가속 폐달’에서 발 뗀다 (0) | 2008.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