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정보/자동차

국내산업의 현 좌표

성공을 도와주기 2008. 11. 19. 10:06

3. 국내산업의 현 좌표
(1) 자동차산업의 위상
1) 국민경제에서 차지하고 있는 자동차산업의 위상

자동차산업은 국가경제를 주도하는 제조업의 핵심주력산업으로 2006년 기준으로 제조업 생산의 11.8%, 제조업 수출의 13.4%를 차지

- 고용창출효과가 큰 산업으로 2006년 현재 전 제조업 고용의 9.1%를 차지하고 사회 안정화에 기여

- 단일품목 수출 최대산업으로 2007년 497억 달러의 수출을 기록하였고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425억 달러 기록

 

[표 4] 자동차산업의 위상 (2006년)
   
자료 : 「ISTANS 주요산업동향지표」, 산업연구원
: 1) 수출, 무역수지는 2007년
2) 자동차부품 포함

2) 산업연관효과를 통하여 본 자동차산업

자동차산업은 철강, 금속제품, 플라스틱, 고무, 화학, 유리 등 소재산업과 기계 및 전기·전자산업을 후방산업으로 자동차판매, 정비, 차량운송, 금융, 에너지 등을 전방산업으로 하여 전후방 연관효과가 매우 큰 산업 산업연관표를 통하여 본 생산유발효과는 자동차는(2.5), 전기전자(1.7), 조선(2.0) 등 여타 주력산업에 비해 높음.

- 자동차산업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종사자는 154만명으로 우리나라 총취업자 1,473만명의 10.4%를 차지(2003년 기준)

 

자동차산업과 직접적인 생산연관효과를 갖는 후방산업을 살펴보면 부품, 철강, 플라스틱 등의 부품소재산업과 기계 등과 같은 산업

-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1990년과 2003년의 후방산업의 변화를 살펴보면 1990년에는 철강의 중간투입비중이 10.9%로 부품에 이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 최근 자동차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소재의 경량화가 이루어져 2003년에는 철강은 7.5%로 비중이 낮아졌으며 플라스틱이 6.3%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그림 4] 자동차산업의 전후방효과(2003년 기준)
  단위 : 십억원
자료 : ISTANS

1990년 자동차산업의 전방산업 중간수요 비중은 자동차부품의 중간수요처로서 완성차가 54.1%, 자동차의 수요처로 운수가 8.7%, 공공행정, 국방이 4.4%, 건설이 1.8%를 기록하고 있으며

- 2003년에는 완성차 52.1%, 개인서비스 5.2%, 운수 4.5%, 일반기계 0.7%로 변동

- 이외에도 유통단계에서 금융보험업, 자동차판매업, 중고차매매업 등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용단계에서도 직접 이용하는 운송업뿐만 아니라 정비, 유류판매, 건설업 등과 폭넓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

3) 세계 자동차산업에서의 위상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은 1970년대 조립생산 및 국산화 단계, 1980년대 양산 및 수출단계, 1990년대 독자모델 개발단계를 거쳐 현재는 성숙기 초기단계에 진입

 

[그림 5] 한국 자동차산업의 발전단계
   

- 세계 자동차산업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2007년 기준으로 생산 점유율 5.6%로 세계 5위, 내수 점유율 1.8%로 세계 13위이며, 자동차 수출 284만대를 기록

- 국산 자동차의 수출가격도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대당 수출가격이 1998년 6,355달러에서 2007년 11,886달러로 2배 가까이 상승

 

최근 해외시장에서 국산차 이미지가 크게 좋아지고 있으며 과거 가격경쟁력 위주에서 현재는 소형·중형승용차, 소형SUV 부문에서 세계 최고의 품질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

 

미국의 품질평가기관인 J.D.Power에 따르면 우리나라 자동차가 미국내 신차 품질평가(IQS)에서는 산업평균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그림 6] 주요 브랜드별 초기품질과 내구품질 비교 (2007년)
   

- 그러나 내구품질(VDS)경우 최근 3년간 초기품질이 크게 개선된 차량이 조사대상이 되는 2006년 이후에는 내구품질도 미국, 일본업체들과 대등한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여전히 산업평균에 미치지 못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

(2) 자동차산업의 수급구조

2007년 내수 및 수출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우리나라 자동차생산은 연간 400만대를 넘어섰으며 해외생산물량을 합치면 연간 500만대 생산

- 2005년 이후 승용차의 경우 내수가 다소 회복되고 있으며 그동안 자동차산업을 주도한 수출도 신흥시장 개척 등의 전략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음.

 

[표 5]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수급 동향
  단위 : 천대, 억달러, %
자료 : 자동차공업협회
: 증감률은 전년대비임. ( )는 수출액

내수는 2002년 160만대를 기록한 이후 하락하여 연간 120만대를 하회하는 수준에서 정체되어 있으며, 2007년 121만대로 전년대비 4.7%의 증가세 기록

- 2007년 고유가 현상으로 내수부진이 예상되었으나 기존 보유차량의 노후화로 인한 대체수요와 민간소비의 완만한 증가로 인해 과거 몇 년에 비해 비교적 높은 증가세를 유지

- 고유가로 인해 경형, 소형 승용차가 증가세가 두드러진 반면 중형, 대형승용차는 감소세를 기록

 

2002년 이후 내수침체로 인한 완성차업체들의 수출전략 강화, 해외시장에서 품질이미지 개선, 수출차종의 다양화 등의 이유로 자동차산업의 수출은 빠르게 증가하였으며 2007년 전년대비 7.5% 증가한 284만대를 기록

- 원화절상으로 인한 가격경쟁력 약화, 주요 수출차종인 소형승용차에서의 경쟁업체의 주력, 해외생산 본격화에 따른 수출대체 등 대외경쟁여건은 악화되었으나 중동, 중남미, 동유럽 등 신흥시장공략 강화, 수출차종의 다양화 등으로 수출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음.

- 총수출비중은 북미가 29.3%(미국 23.5%)로 가장 높고, 서유럽 19.3%, 동유럽 15.7%, 중동 11.6%, 중남미 10.6%, 순임.

 

2002년 10만대를 돌파하기 시작한 해외생산은 빠르게 증가하여 2007년은 116만대로 100만대를 넘어섰음.

- 2008년까지 중국, 미국, 동유럽, 인도 등을 중심으로 생산설비 확장이 계획되어 있어 해외생산능력은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시장의 경우 연간 약 40만대 생산하고 있으며 부품 현지조달률이 85%에 달하고 국내모델을 변형하여 중국내 자체모델을 개발하는 등 등 현지화에 주력하고 있음.

- 약 10억 달러를 투자하여 2005년부터 가동 중인 미국 공장은 연간 30만대의 생산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점차 생산능력을 확충할 계획으로 현지에서 부품을 조달하며, 기술연구소와 디자인연구소 등을 설립하여 기존의 생산설비 구축 중심의 세계화 전략보다는 한 단계 심화된 형태를 보일 것으로 기대

- 또한 인도는 소형승용차의 글로벌 생산기지로 활용할 계획이며, 터키와 슬로바키아 등은 유럽시장공략을 위한 거점으로 활용할 예정

 

[그림 8] 한국 자동차산업의 해외생산 전략
   

2007년 수입은 수입차의 가격인하, 다양한 모델출시 등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으로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면서 전년대비 32.5%의 높은 증가율이 지속되고 있음.

- 내수시장이 침체되어 있던 상황에서도 빠르게 증가세를 누리던 수입완성차는 3,000만원대의 저가모델 투입과 고가정책을 펼치던 일부 고급차들의 가격인하 등이 지속되면서 자동차산업에서 수입은 당분간 지속적인 증가가 예상됨.

- 또한 국내시장에서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평가를 되고 있는 일본 완성차업체들이 국내시장에 진출할 계획이여서 2008년에도 완성차 수입은 큰 폭의 증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