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정보/일반화학

산업의 종합 평가 및 중단기 전망

성공을 도와주기 2008. 11. 19. 10:27

4. 산업의 종합 평가 및 중단기 전망
1) 종합 평가

부가가치사슬상의 경쟁력을 종합평가하면, 한국의 석유화학산업은 기초기술→응용기술→개발기술→제조·생산기술→마케팅의 과정에서 후자로 갈수록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반면 전자로 갈수록 경쟁력이 취약한 실정

- 이는 부가가치의 창출도의 관점에서 보면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고부가가치 창출과정에서의 기술경쟁력이 미흡하고 부가가치의 창출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과정에서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의미함.

-

기술개발 또는 투자의 회임기간의 관점에서 보면 부가가치 사슬상에서 장기적인 투자와 회임기간을 요하는 과정에서의 경쟁력이 낮고 단기적인 투자와 회임기간을 요하는 과정에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의미함.

 

범용부문에서의 생산·제조기술과 마케팅력에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복합화 기술이 취약하여 기존제품의 Up-grade를 통한 고부가가치화가 미흡

- 특히, 유기 신소재 분야(고분자 신소재, 전자재료 등)의 기술 취약, 신기술(IT, BT, NT 등)과의 융합화가 미흡하여 현 구조로는 지속적인 성장과 수출에 일정한 한계를 노정할 것으로 전망

2) 대내외 환경 및 SWOT 분석

먼저 세계 수요환경 면에 있어서는 전방산업으로부터의 고부가가치화 소재에 대한 수요와 중국을 중심으로 한 세계 석유화학수요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

- 이와 관련되어 최대 수입시장인 중국시장 접근의 지리적 잇점과 세계적 수준의 범용제품 생산능력 및 우수한 인력 확보가 장점으로 부각되며 내수시장의 침체가 위협요인으로 부상

 

[표 13] 석유화학산업을 둘러싼 수요, 공급, 경쟁, 거시환경
   

세계 공급환경 면에 있어서는 중동 및 중국의 공급능력 향상 및 중동지역 환경의 불안이 주된 이슈로 부각

-

이에 따라 원유 및 원료의 높은 해외의존도가 약점으로 지적되는 한편, 중국 및 중동에 비해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수준 및 마케팅 능력이 우위를 보인다는 점은 장점으로 등장

 

세계 경쟁환경 면에 있어서는 중동 및 중국 등 신흥성장국의 부상과 메이저기업들의 사업재편 및 기술독점 양상 가속화 등이 지적

 

세계 거시환경 면에서는 교역환경의 급변, 환경에 대한 규제 강화 등이 부상

- 세계 경쟁환경, 거시환경의 변화는 그 자체가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며 선진기업들에 비해 열위에 있는 경쟁력 및 낮은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 등이 주된 약점으로 지적

- 그러나 이에 따른 사업재편 필요성 확산, 신소재개발 확대 필요성 공유, 석유화학산업에 대한 대외인식의 변화 등은 기회요인으로 작용

 

[표 14] 한국 석유화학산업의 SWOT 분석
   

3) 산업발전의 촉진 및 장애요인
□ 발전 촉진요인

촉매·공정기술의 발전 : 범용부문에서의 원가 절감 및 가격경쟁력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고, 또 그 자체 석유화학 전체의 기술파급효과를 리드하는 촉매제로 작용할 전망

 

복합화기술의 발전 : 기존제품의 Up-grade를 촉진하고 기존제품 혹은 기술의 혼합기술의 발전 즉 복합화 기술의 발전은 석유화학 기존제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촉진함으로써 기존 석유화학부문의 경쟁력제고 및 수출제품의 다양화·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유기 신소재기술의 발전 : 신규수요에 부응한 신기술의 창출과 기존제품과 신기술(IT, BT, NT 등)의 융합화 등에 따라 특히 신소재 부문의 기술발전이 촉진될 경우 이는 석유화학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 발전 장애요인

석유화학 발전의 장애요인으로는 무엇보다도 범용부문에서는 이미 성숙단계에 접어들어 내수가 큰 폭으로 증가해 가기가 어렵고 또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에서도 큰 폭의 설비투자가 예정되어 있어 2000년대 중반 경에는 수입수요가 다소 둔화되어 갈 것이라는 점임.

 

또 국내 석유화학기업은 단위생산규모가 상대적으로 작고 다수의 기업이 활동함에 따라 규모의 경제실현 및 핵심역량 강화에 있어 선진 다국적 기업에 비해 열위한 상황

4) 중단기 전망

중동지역이 새로운 에틸렌 공급 강자로 부상할 것으로 보이고 BRICs(중국, 인도, 러시아) 지역의 높은 수요 수준도 지속될 전망

 

[그림 13] 지역별 수급 밸런스 전망
   

향후 석유화학 기업들의 구조조정 노력은 지속될 것인 바, 그 방향은 다국적 기업의 주도, 부가가치 사슬 전 부분에 걸친 조정, 비핵심 부문의 철수와 M&A,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한 핵심 부문으로의 집중이 될 것임.

- 동 결과는 초대형 다국적 기업의 기술 및 원가 지배 현상으로 구현될 전망

 

무엇보다도 향후 가장 큰 변수는 강력한 원가경쟁력을 보유한 중동지역의 부상인 바, 이는 북미지역의 영향력 감소와 더불어 향후 변화 전망의 핵심 key로 작용할 전망

 

[그림 14] 석유화학산업의 구조 변화 전망
   

한국은 향후 생산부문에서 현 위상을 지속할 것으로 보이나 질적 전환이 필요한 성숙기 말에 위치할 것으로 평가되며 무역부문에서도 수출주도형 성장세를 지속할 전망

 

[표 15] 한국 석유화학산업의 발전단계상의 위상 전망
   

기술수준별로 볼 때 한국은 평균적으로 중고기술 사용 생산추이가 지속될 것이나 합성수지를 비롯한 핵심유도품의 경우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기술투자로 고기술 사용이 이루어질 전망

부가가치 사슬 면에서 한국은 전 분야에서 응용생산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

 

[표 16] 한국 석유화학산업의 특화구조 전망
   

한국은 개도국에 대하여 수출특화 양상을 보이고 있고 향후에도 동 양상은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이나 middle grade 유도품 등을 중심으로 경쟁이 한층 격화될 것으로 예상

- 향후에도 중단기적으로는 대 선진국으로부터의 고부가가치 수입구조는 크게 바뀌지 않을 것으로 예상

 

[표 17] 한국의 현재 및 향후 특화우위 분야와 경쟁분야
   

한국은 중국 등 개도국들과 현재 범용제품 군에서 경쟁이 격화되고 있고 중동의 성장세로 향후 그 경쟁구도는 한층 격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 위주로의 생산 및 교역시스템 전환이 시급

 

기술특화 포지션을 볼 때 한국은 현재 일부 중저위 기술을 포함한 중고기술 위주의 포지션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나 향후에는 기술의 진보추세 및 수요산업의 고도화에 따라 고기술 위주의 기술특화 포지션 형태를 보일 것으로 예상

 

향후 고기술 위주의 포지션이 정립됨으로 인해 연관산업의 수요변화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될 것이고 제품의 차별화에 따른 고부가가치 생산 및 교역구조의 전환으로 안정적 성장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표 18] 한국 석유화학산업의 현재 및 행후 기술특화 포지셔닝
   
자료 :

1. 현재의 특화포지션은 △, 향후의 특화포지션은 ▲
2. 고기술-중기술-저기술의 기준은 현재 및 향후 시점에서 선진국(해당 시점에서 최고 기술수준보유국)이 고기술을 갖는 것으로 간주하여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