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정보/일반화학

플랜트산업 전망과 국내 플랜트 기자재업체의 경쟁력 분석

성공을 도와주기 2009. 1. 17. 23:20

 

공_국내플랜트기자재업체의경쟁력분석[1].pdf

플랜트 산업의 현황 및 전망

플랜트 산업은 고유가로 인한 중동의 오일머니 축적으로 석유시추사업,
석유화학,정유시설로의 투자활성화, 중국과 인도를 포함하는 아시아 경제성장 및
지역 내 경제개발로 크게 성장하고 있음
고유가는 러시아, 카자흐스탄과 같은 신흥 에너지 대국의 플랜트 설비투자도
부추기고 있음
ENR 상위 225개 기업의 2007년 수주금액은 7,586억달러로 전년대비
22% 상승하는 등 꾸준한 증가를 보이고 있음
국내업체의 2003~7년 연평균 플랜트 수주량은 60.4%로 폭발적 성장을
하고 있으며 2008년 상반기 수주액도 전년동기비 30.5% 성장한 231억달러 수준
전체 플랜트는 설비별로 해양, 발전,담수, 석유화학 등에서, 지역별로는
중동, 아시아, 유럽 등에서 고르게 수주를 하고 있으나, 육상플랜트만을
살펴본다면 중동과 아시아의 비중이 87%로 지역의존도가 매우 높음
국내 플랜트 산업은 FEED 분야에서 열위에 있으며, EPC, 시운전, 이관
단계에서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국내 플랜트 수주는 선진국 경기침체에도 중동 및 아시아 지역의 플랜트
호조에 힘입어, 2010년에 624억달러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
국내 플랜트 수주의 77%가 5억달러 이상의 대형플랜트로 플랜트 산업의
대형화가 지속되고 있음
공급자 중심의 시장 변화는 능력과 실적 위주의 경쟁력을 중요하게 만들고
있으며, 원천기술을 보유한 소수의 기업의 급격한 가격상승을 막기 위해
EPC 또는 EP+C 방식으로 계약방식이 바뀌고 있음
중동과 아시아 시장의 활성화로 인하여 석유화학플랜트, 가스플랜트, 발전
플랜트 위주로 시장이 확장되고 있음
플랜트 산업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은 유가, 경제성장, 시설투자, 정부
정책, 자본조달, 환율 등임


플랜트 기자재 산업의 현황과 전망

국내 플랜트 업체가 수주하는 프로젝트 수주액의 60~65%가 기자재 부문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자재 부문의 영향력이 크나, 석유화학,
발전, Oil&Gas 플랜트에서의 국산 기자재 사용률은 15~25%에 불과
플랜트 기자재는 주요 플랜트 업체의 협력업체로 등록이 되어야만 수출이
쉬운 형태이고, 품목별로 고도의 기술력과 납품실적을 요구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비교적 높음
Reactor, Column, Vessel 등으로 구성되는 고정장치류는 국내 업체가
국제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 기업이 매출액이 연평균
23.3%의 성장을 하고 있으며 향후 10% 이상 성장할 전망
Pump, Compressor로 구분되는 회전기계류는 주요기업의 매출액이 연
평균 12.2%의 성장을 하고 있으며, 향후 10% 이상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나, 국제적인 경쟁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파이프, 피팅, 플랜지 등으로 구성되는 배관 및 벌크 자재류는 국내 업체가
국제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요기업의 매
출액은 향후 10% 내외의 성장을 이어갈 전망
다품종 소량생산의 전형적인 중소기업형 산업인 밸브류는 뚜렷한 선도기
업이 없고, 주요기업의 매출액은 향후 10% 수준의 성장을 이어갈 전망이며,
특수밸브로의 국내 기업 진출이 기대되어 경쟁력은 높아질 전망
전기분야 자재류의 주요 업체 매출액은 연평균 10%내외의 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며, 다수의 품목에서 세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익성은 낮은 편에 속함
Local Gauge, Switch, Transmitter 등으로 구성되는 계장분야 자재류의
주요기업 매출액은 9% 수준의 성장을 보이고, 7~8%대의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며 영업이익률은 7% 내외를 유지할 전망
시스템으로 운영이 가능한 패키지류(냉동공조기계 중심)의 주요 업체 매
출액은 연평균 8.5%의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되고 영업이익률은 6~7%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시사점

국내 플랜트 및 기자재 산업은 해외 플랜트 건설의 호조에 따라 안정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나, 규모와 기술력에 따른 양극화 현상이 발생할 전망
국내외 주요 플랜트 업체와 협력업체 등록을 마치고 지속적인 수주관계에
있는 기자재 업체의 경우,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적고 향후 성장성과 수익성
에서 긍정적일 전망
다만 범용 플랜트 및 기자재 생산업체의 경우 장기적으로 후발 국가의 기업과
경쟁이 치열해질 위험이 있음

 

출처: 하나 금융 경영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