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식량위기 - 농업을 다시 본다
1. 식량위기의 희생자들
2. 세계는 지금 곡물전쟁 중
3. 곡물값 급등 10년 간다
4. 곡물 내셔널리즘 오나
5. 곡물가 폭등 뒤의 검은손
6. 북한 식량위기, 제2의 고난의 행군?
7. 위기는 기회-한국농업의 선택
지역안 곡물 자급자족을”…‘식량주권’ 운동 싹터 | |
지구촌 식량위기 농업을 다시 본다 7. 위기는 기회-한국농업의선택 | |
홍용덕 기자 | |
국제 곡물가격 폭등 여파로 비료값 사료값이 폭등하자, 농민들의 시름도 깊어지고 있다. 축산농민 전기환(47·강원도 춘천시)씨는 “사료를 먹이면 먹일수록 손해가 난다. 감당이 안 된다. 사료값은 둘째치고 생활이 안 된다”고 말했다. 가축 사료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국내 수입 조사료값은 지난 2005년 t당 184달러에서 올해 243달러로 32%, 옥수수는 t당 140달러에서 357달러로 155%가 폭등했다. 미국산 수입 쇠고기에 이어 축산농민은 국제 곡물가 상승의 ‘폭탄’을 맞았다.
국제곡물가격이 오르면서 자국내 전업 농민 1인당 소득액이 1억원에 이르자, 미 상무부는 “올해는 번영과 성장의 해”라고 말했다. 국내 농가는 어떨까? 국내 농가 1가구당 가처분 가능소득은 지난 1995년 2162만원에서 지난해 2442만원으로 12년 동안 거의 제자리 걸음을 한 반면, 1가구당 부채는 916만원에서 2994만원으로 3배 이상으로 늘면서 농민들 속은 ‘숯검댕’이가 됐다.
‘장바구니’도 예외는 아니다. 국내 1인당 연간 밀 소비량은 쌀(77㎏)의 절반인 35㎏. 매년 전체 수요량의 99%인 357만t을 수입하는 밀의 국제 선물가격이 지난 2006년 t당 142달러에서 올해 367달러로 258%가 뛰었다. 밀 수입가격 폭등은 지난해 1월부터 지난 3월까지 국수 57.9%, 라면 23.6%, 빵 16.0%, 두부 22% 등 수입밀과 콩을 쓰는 식품가격 폭등으로 이어졌다. 같은 기간 일반물가는 7.5% 올랐다. 높은 쌀 자급률이 식품 가격의 완충 역할을 했지만 안심할 상태는 아니다.
농협경제연구소는 “10년 간격의 흉작에 기상이변으로 쌀 부족 위기는 상시적이지만 우리의 주식인 쌀을 생산하는 미국과 호주는 되레 재배지를 줄였다”며 “쌀 공급량이 30% 줄면 쌀 가격은 최대 146%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소비자 가격으로 현재 20㎏당 4만6천원인 쌀값이 6만6천∼11만3천원으로 오르고 저소득층 식료품비는 9% 늘 것이라는 분석이다. 농협경제연구소 김영섭 수석연구원은 “1981년 병충해와 이상저온으로 쌀 생산량이 36% 줄자 4년에 걸쳐 273만t을 수입했는데 당시 쌀값이 28% 뛰고 그나마 수입할 쌀이 부족해 잘 안 먹는 ‘안남미’(베트남·타이 등 동남아시아쌀)까지 수입했다”고 말했다.
정부와 전문가들은 세계 식량위기가 ‘기회가 될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농림수산식품부 박선우 식량정책팀장은 “저개발 국가는 수급 위기이지만 우리는 가격위기”라고 말했다. 곡물 자급률 증대와 해외 곡물자원의 확보, 국제 선물시장 참여 등의 다양한 대책이 제시되는 가운데 식량자급률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 전환이 필요한 때라는 지적도 나온다.
한영미 전국여성농민회총연맹 정책위원장은 “자국 국민이 굶어죽는데 식량을 수출할 나라는 없다”며 “생산자인 농민과 실제 식량을 먹는 소비자가 스스로 지역 안에서 식량을 책임질 수 있도록 자체단체가 협력해 ‘식량주권’을 회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충남 천안시가 2년전부터 지역 생산자와 지역 소비자를 잇는 ‘지산지소(地産地消)’ 운동을 벌여 지난해에만 150억여원의 지역 안 농산물 유통 효과를 거뒀다. 충남 서천군과 경북도도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는 ‘로컬 푸드(local food)’ 운동 착수를 준비하는 등 다양한 식량주권 회복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경남대 김종덕 교수(사회학)는 “생산자인 농민과 소비자를 격리시키고 소비자를 먹거리의 생산으로부터 무력화시키는 세계식량 체제야말로 식량위기의 원인”이라며 “지역 농산물에 대한 의무적 구매 확대, 생산자와 소비자의 조직적 연결, 제도와 조례 정비, 정부와 지자체의 재정 지원 등을 통해 지역 생산자와 지역 소비자가 지역 식량 자급률을 높일 수 있도록 범정부적 노력이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작농 갈수록 끼니 걱정
‘지난 1년 사이 곡물가격의 폭등으로 이득을 보지 않았나?’ 이 질문에 전세계 ‘대부분의’ 농민들은 손사래를 치며 ‘아니다’라고 답할 것이다. 유엔 인권위원회의 식량특별조사관인 장 지글러는 책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에서 “(세계 기아 인구 중) ‘심각한 영양실조’ 상태에 있는 사람들의 75%는 농촌지역 사람들”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3일 필리핀 마닐라 외곽에서 1.5㏊(㏊=1만㎡)를 경작하는 호세 캄베(49)는 이모작을 하지만 치솟는 비료와 농약, 연료 값 등을 빼면 연간 손에 쥐는 건 5만페소(115만원)라고 했다. 그는 “쌀이 떨어지면 시장에 나가 쌀을 사야 한다”며 “식량위기를 원치 않는다”고 말했다. 그의 마을 마사팡엔 100㏊ 이상 농지를 가진 지주가 몇 명 있지만, 어느 정도 수지가 맞는 5㏊ 이상 논을 경작하는 농부는 거의 없다. 필리핀은 8900만명의 인구 중 약 40%가 농촌 인구이며 이 중 최대 90%(약 3천만명, 5인 기준으로 약 600만 농가)가 소작농으로 추산된다. 식량위기를 겪는 많은 나라의 사정도 다르지는 않다.
반면 식량 수출국인 미국·캐나다·오스트레일리아 등의 부농은 식량위기가 즐겁다. 미국 전업 농업인구 약 96만명의 비용을 뺀 올해 농가순소득 총액은 전년보다 4% 증가한 약 923억달러(92조원), 1인당 9만6천달러(9600만원)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라고 <파이낸셜 타임스>가 최근 보도했다. 미 농무부는 “2008년은 또 하나의 번영과 성장의 해로 기록될 것”이라고 밝혔다.
빅토리아(필리핀)/류이근 기자
그들만의 바이오연료, 식량위기 ‘나몰라라’ 미·유럽 등 생산·개발 대량투자
‘식탁 위 옥수수냐, 자동차 연료냐?’ <에이피>(AP) 통신이 지난 3~5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유엔식량 정상회의에서 180개국 대표들이 ‘식량 위기’와 관련해 바이오 연료 문제에 대한 ‘합의’에 실패하자 내놓은 기사의 제목이다. 각국 정상은 합의문에 “바이오 연료의 생산과 사용이 (식량의) 고갈 없이 지속될 수 있는지 확실히 하기 위한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며 “바이오 연료는 ‘도전’이자, ‘기회’”라고 절충하며 회의를 마무리했다.
식량위기 뒤 곡물가 급등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의심받아온 바이오 연료 논쟁이 뜨겁다. 옥수수·사탕수수·씨 오일 등에서 바이오 연료를 빼내는 미국과 브라질은 바이오 연료가 식량위기를 악화시킨다는 주장에 반대한다. 브라질은 주로 사탕수수에 기반한 자국의 바이오 연료는 식량과 상관없다고 주장하고, 옥수수에서 에탄올을 뽑아내는 미국은 바이오 연료로 인한 곡물가 상승 영향은 2~3% 정도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국가는 투기, 수출 제한, 신흥 개발국의 곡물·육류 소비 증가, 고유가와 함께 바이오 연료를 식량가격 급등의 주 원인으로 꼽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만약 당신이 가난해 옥수수를 주식으로 한다면 문제는 달라진다”며 “바이오 연료는 우리가 희망한 만병통치약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브라질에서 바이오 연료의 비중은 전체 에너지의 16%로, 석유 다음으로 높다. 바이오 연료 생산량은 1995년 약 30억배럴(약 159ℓ)에서 2007년 말 약 350억배럴로 10배 이상 늘었다. 전체 액체 연료의 약 3%다. 옥수수만을 예로 들면 전세계 생산량의 약 6% 이상이 바이오 연료에 사용되는 현실이다. 미국, 유럽연합,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 농업 강국들은 바이오 연료에 1ℓ당 최대 1달러의 보조금을 쏟아넣고 있다. 미 정부는 지난해 바이오 연료 생산 및 개발과 관련해 10억달러를 투자했다. 미 의회는 2022년까지 바이오연료 생산량 목표치를 360억갤런(약 3.8ℓ)으로 제시한 상태다.
류이근 기자
출처 : 한겨레 신문 |
'비지니스 정보 > 비지니스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물류 / 국내 골프역사 110년, 세계 3대 시장 규모로 성장 (0) | 2009.07.23 |
---|---|
병원물류 현황 / 병원 경영환경 변화로 물류 개선 관심 증가 (0) | 2009.07.23 |
모텔경영학 제1장 ‘돌리고 돌리고 돌려라’ (0) | 2009.06.13 |
인재 육성의 성공 포인트 7 (0) | 2009.05.16 |
외국인이 본 서울은 미녀 많은 교통지옥 (0) | 2009.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