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030

나노신소재, CNT도전재, 전기차, 2차전지

전기차에서의 가장 핵심 소재는 배터리이다. 배터리의 주요 소재 구성을 보면.. 주요 소재로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 등이 주로 거론된다. 나머지는 기타로..그저 쩌리 취급한다. ​ 아래는 각 소재의 2017년 영업이익과 2025년 시장규모를 제시하고 있다. ​ 그리고 아래 그림은 2017년도와 2025년도의 시장규모를 전망하고 있다. 두 자료를 종합하여 표를 만들어 보면.. 이제까지 대부분 시장/리포트에서는 2차 전지 소재에 대해선 양극재/음극재/분리막/전해액/구리(알루미늄)포일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관련 기업 F/U 하기에 바빴다. ​ 그런데, 재미난 사실이 이익률과 성장률이 가장 좋은 소재가 도전재라는 것이다. 2017 →2025년 시장규모 성장률이 3000%나 되고 2017년 영업이익률이 4..

2차전지 부품 기능, 기술로드맵

1) 리튬이온전지 개발의 역사는 배터리 용량 확대 및 안정성 확보라는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의 연속이었다. 두 가지 목표 달성을 위해 양극의 구성 물질 변화, 음극의 CAPA 확대가 중요하다. ​ 2) 양극의 구성 물질이 과거 LCO(리튬-코발트)에서 NCM(리튬-니켈-코발트-망간),NCA(리튬-니켈-코발트-알루미늄) 등으로 변화하는 것 역시 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함이며 배터리 및 양극재 업체의 경쟁력은 위 기술 변화에 대한 대응 능력에 달려있다. ​ 3) 음극의 CAPA 확대는 배터리 용량 확대와 직결된다. 음극의 흑연 층상구조에 intercalation 되는 리튬이온의 양이 배터리 용량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현재 천연흑연은 탄소 원자 6개 당 1개의 리튬이온을 intercalation할 수 있는데 만약..

MCC, MCC의 고성과 운영방법

MCC(Motor Control Center) MCC(Motor Control Center)란 전동기를 제어하기위해 만들어진 판넬입니다. 내부에는 주로 NFB(No Fuse Breaker)와 MC(Magnet Contactor), OCR(Over Current Relay) 혹은 EOCR(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MPR(Motor Protectiom Relay)를 사용하여 모터를 보호합니다. 또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CT(Current Transfomer), A-meter, V-meter, S/W, Lamp등등이 있습니다. MCC란 Motor Control Center의 약자입니다. 저가형 MCC의 구성은 주로 NFB, CT, M/C, 전류계, LAMP 열동형계전기 혹은 EO..

부스바 역할

BUS-BAR란 전기적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 PCB상에서 전도체(Conductor)와 같은 역할을 하는 Conduct (도관 : 전기 배선관) plating bar는 이 용어의 하위 범주에 속한다. 라고 네이버 백과사전에 명시 되어 있습니다. 보다 상세히 설명 드리자면 도금 수조에 고정된 도전부로서 함유원소의 대부분이 동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정류기에서 케이블을 통해 부스바까지 전류가 운반되며 케이블과 부스바는 볼트로 조여집니다. 일반적으로 작은 전압이 흐를 경우에 전선을 사용 하겠지만 변압기, 차단기 등 고전압의 경우 전류 흐름이 안정적이어야 하고 저항특성상 단면적에 반비례 하기 때문에 단면적이 넓은 것을 써야 하기 때문입니다. 단면은 사각형이 대부분이며 원형인 것도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전기차 배터리 폭발적 증가세..가장 큰 수혜는 '한국'

韓 배터리 공급, 2019년→2030년 18배 증가 예상 中 공급 규모 크지만 내수 위주..韓, 과감한 투자 지속 문창석 기자 입력 2020.05.15. 08:00 © 뉴스1 (서울=뉴스1) 문창석 기자 = 전세계 전기차와 배터리 시장이 코로나19로 다소 침체된 상황이지만 전염세가 회복된 이후에는 다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폭발적인 시장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한국 배터리 업체들이 그 수혜를 가장 크게 누릴 것이라는 관측이다. 15일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세계 전기차 배터리 수요는 2019년 117기가와트시(GWh)에서 2030년 3147GWh로 26.9배 성장할 전망이다. 지금까지 전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중국이 주도했지만, 앞으로는 유럽·미국 시장의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

차세대 전기차 핵심소재 'NCMA' 기술 뜬다

차세대 전기차 핵심소재 'NCMA' 기술 뜬다 이수환 기자 승인 2020.05.08 19:27 테슬라도 적용 고려 전기차 배터리 이미지 전기차(EV)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는 배터리 핵심소재 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NCMA) 시대가 본격화된다. 주요 양극재 업체가 올해 하반기 공급을 시작한다. 제너럴모터스(GM), 폭스바겐, 테슬라와 같은 완성차 업체들도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에코프로비엠, 포스코케미칼, LG화학, 코스모신소재 등 국내 양극재 업체들이 NCMA 공급에 나선다. NCMA는 니켈 함량 92%에 소량의 알루미늄을 더해 에너지 밀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가격이 비싸고 희귀광물인 코발트를 덜 사용한다. 그만큼 원재료 가격 상황에 따른 위험을 줄일 ..

(중요)서울시 분기별 상권 데이터를 바탕으로 신규창업 위험도 진단

서울시 분기별 상권 데이터를 바탕으로 신규창업 위험도를 제시(http://golmok.seoul.go.kr) ☞ 서울시 보유한 개업/폐업 신고 데이터, 신용카드 회사와 제휴한 매출정보, 이동통신사의 유동인구 모델데이터를 구입하여 골목상권의 예비창업자들에게 고객 유형과 소비특성 정보를 제공

바인더 시장규모, 2차전지 소재별 시장규모, 바인더 업체 정보

http://m.blog.naver.com/htiger31/221189284421 리튬이차전지용 고성능 양극바인더 소재 개발- 고에너지밀도 ...m.blog.naver.com › htiger312018. 1. 20. - 바인더 : 리튬 이차전지에 사용하는 중요 고분자 소재로 전극을 물리적으로 안정 2차전지 도전재,바인더 시장규모 (중요) https://www.google.com/url?sa=i&url=http%3A..